http://www.podbbang.com/ch/9519?e=23872788
[201104] ▶왕초보 사주기초◀ ③ 청취 가이드/사주공부 순서 및 요령]
※ 왕초보 사주기초 컨텐츠는 과거에 올렸던 자료중 기초만 뽑아 재업로드를 하는 시리즈 방송입니다. ^^ 원본자료 : [2015.12.07] ● 청취 가이드! (+@ 공부 순서 및 요령) 교재 : https://cafe.naver.com/2020
www.podbbang.com
무료 사주 방송듣기 [위 링크클릭]
강의 듣는 요령을 말씀드릴게요.
일단 제가 처음부터 올려놓은 음양오행이라든지 계절적 측면 이런거를 얘기 해 놓은 것 순서대로 들으셔도 되구요.
아니면 아주 기초적인 것은 조금 안다 그러면 어떤 것부터 들어도 상관 없어요.
꼭 팟캐스트 내에서 지금 제가 한 강의가 몇 개 있기 때문에
1. 뭐부터 들어야 하냐
2. 처음부터 정주행 해야 되나
3. 역주행 해도 좋으냐
이렇게 물어보시는데 전혀 상관없어요.
일단 듣는거 자체는 하나하나 조각조각 맞춰서 전체를 완성할 것이기 때문에 어디 뭐 모서리부터 퍼즐을 맞춘다든지 가운데부터 하든지 특정 그림을 먼저 완성하든지 상관 없어요 하지만 어떤 형식 같은 건 중요하긴 하겠죠.
일단 사주팔자는 뭐고 음양오행이 어떻게 유래 되었는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처음에 있는 강의를 들으시면 제가 계절에 입각한 오행에 대한 설명을 해놓은 것들이 있습니다.
오행에 대한 건 순서가 없어요
목화토금수라고는 하지만 水를 먼저 들어도 상관없고 金을 먼저 듣든 土를 먼저 듣든 상관 없습니다.
그것이 내 귀에 얼만큼 와닿고 꽂히느냐 이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
상생은 생하여 서로 도와주는 것이고
상극은 극하여 쓰임이 형성되고 컨트롤 되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순서가 음양오행, 그 다음이 천간지지
음양오행이 결국 오행을 음양으로 나누는 게 천간이 돼요.

그래서 오행이 음양으로 나뉘니까 곱하기 2가 되잖아요.
음양이 2개니까 천간/지지가 되고 지지 12글자가 음양오행으로 나눠져 있는데 그 중에 토가 2개가 더 들어가 있어요.
土가 총 4글자예요. (지지에는) 그리고 나머지 4행은 똑같애요. 2글자씩 있습니다.
木도 2글자고 火도 2글자 水도 2글자 이렇게 되어 있어요
그래서 土가 2글자 더 있는거 빼고는 지지 12글자 천간 10글자 똑같애요.

천간(天干) 10글자. 10개라서 십천간이라고 부르며 십간또는 그냥 천간이라고도 한다.
결국 그 성향 자체는 글자를 먼저 익히는 게 더 중요합니다.
천간 10글자 그런거를 해놓을 필요가 있죠. 좀 써 보시기도 하고 얼마 안되잖아요.
지지도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이렇게 좀 써보고 기본적으로 그 22글자만 알면 되요.
우선 제가 전문용어라든지 어렵게 이야기 안할려고 하거든요.
역학을 공부하는데 너무 어렵고 한자투성이에 겁을 먹으시는 분들이 많아서 저도 힘들게 공부했기 때문에 초보들의 마음을 너무 잘 알아요.

그니깐 제가 제일 싫어하는 말이 어렵다는 말입니다.
저는 아주 쉽게 가르쳐 주려고 하니까 천천히 차분한 마음을 갖고 따라오시면 될 거 같아요.
그렇게 천간지지 (공부)하시고 생극제화를 용어로 도출해낸게 십성이에요.





식신이냐 상관이냐 (일간이) 생(生)한다 그 얘기예요.
생해서 내가 꺼낸 기운이 식신, 상관.
일간인 나와 음양이 같으면 식신 다르면 상관
내가 (생을) 받았으면 정인이다 편인이다 이런 것을 (용어로)도출해낸 거예요.
생극제화를 용어로 도출해낸게 십성이에요. 육신이다 육친이다 십신이다.
어쨌든 십성, 십신 이렇게 세분화해가지고 10개의 부분을 쓰죠.
10개의 별이다(十星/십성)
10개의 신이다(十神/십신)
그래서 십성, 십신 이렇게 쓰는데 그런거를 얘기하는게 정관이다.
나중에는 상관이 정관을 봐서 상관견관(傷官見官)이다.
재극인이다 군겁쟁재다. 군비쟁재다
뭐 이런 용어들이 거기서 나오는 거예요.
이 생극제화를 용어화해서 이렇게 쓰는 것.
우리 경제할 때도 경제 용어가 있고
법을 전공하는 법학용어가 있고
의학을 해도 의학전문용어가 있듯이 명리에도 명리 전문용어가 있을 뿐이에요.
하지만 전문용어일 뿐이지 전혀 복잡할 이유가 없어요.
조금만 알다보면 그 얘기를 그냥 이렇게 한자로 축약해 놓은 거구나
그러니까 막 지레 겁먹고 어려운 용어가 나온다고 어려워하지 마시고 천천히 천천히 하시면 돼요. 천천히.
급하게 마음먹지 마시고 천천히 거기까지가 하나의 축이에요.
음양오행, 천간지지, 그리고 십성, 이렇게 세 분류로 되어 있어요.
그것만 하면 사주볼 수 있어요.
천간/지지만 해도 사주 볼 수 있어요.
생극제화를 도식화한게 그게 십성인데
그 십성은 용어화해서 십성이라고 부르는거지 굳이 그거를 십성이란 용어로 도출하지 않아도 볼 수는 있다는 얘기예요.
물론 조금 편리하게 보려면 십성이라는 용어를 끌어다 쓰는게 좀 더 편하긴 하겠죠.
그래서 십성을 가지고 뭐 이렇게 얘기하는 거니까 공부가 빨리 진전이 되면 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는 음양오행 그리고 천간지지에 대한 부분을 저와 같이 차근차근 인식을 해가시면 될 거 같습니다.
그 다음에 이제 십성을 가지고 그 십성이 가진 틀을 갖고 그 위주로 연구하는 것이 격국용신인데 식신/상관이다.
그럼 식신이 하나의 격을 갖추고 국(局)을 짜는 거예요. (局=판 국)
쉽게 얘기하면 집에 강아지를 키워요. 한 두마리가 아니라 뭐 다섯 마리 열 마리를 키워요.
그러면 이미 집안에 개판이 된 거예요.
그야말로 강아지가 국을 짠 거죠.

개판
국(局)이라는 건 판을 얘기하는거죠 판 국자 해서 국을 짠거에요. (바둑 대국, 장기 대국할 때 그 局)
국을 짠거는 격을 이뤘다는 거예요.
그 격 자체는 결국 뭐를 이야기하냐면 강아지가 행동하는 부분에 대한 것 위주로 형성이 돼 있는 거죠.
5마리, 10마리가 사주 안에서 세력을 장악 했으니까.
그 사주 안에서 뭐가 장악했느냐 그 이야기를 하는 거예요.
고양이가 있으면 고양이격이 되는거고 이구아나가 있다. 그럼 이구아나격이 되는 거예요.

캣잎소굴 고양이
그렇게 행동하는 틀이 격으로 이루어져서 그것을 생해주느냐 극해주느냐 파극했느냐 그렇게 얘기하는 거예요.
무슨 상관격에 뭐 파격됐네 성격됐네 얘기하는 것들이 그런 격국용신을 보고 이야기하는거고,
실상 처음부터 이렇게 차근차근 들어가면 별 이야기 아니라는거죠

참고자료 : 용신의 종류
(참고로만 보세요!! 머리아프다 어지럽다 ㄴㄴ)
그렇다고 뭐 가볍고 만만하고 그렇게 보기에는
그래도 깊이가 있기 때문에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또 그 맛이 다르죠.
근데 너무 처음부터 지레 겁을 먹을 필요는 없다. 그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공부하는 요령은 그렇게 음양오행, 천간지지, 십성 순으로 공부하시고
제가 강의해놓은 것들을 차근차근 들으시면서 이해를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http://www.podbbang.com/ch/9519?e=23872788
[201104] ▶왕초보 사주기초◀ ③ 청취 가이드/사주공부 순서 및 요령]
※ 왕초보 사주기초 컨텐츠는 과거에 올렸던 자료중 기초만 뽑아 재업로드를 하는 시리즈 방송입니다. ^^ 원본자료 : [2015.12.07] ● 청취 가이드! (+@ 공부 순서 및 요령) 교재 : https://cafe.naver.com/2020
www.podbbang.com
무료 사주 방송듣기 [위 링크클릭]
'[음양] 팟캐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초보 사주 기초] 06. 오행(五行)의 중요성 (1) | 2023.11.14 |
---|---|
[왕초보 사주기초] 05. 음양(陰陽)의 중요성 (1) | 2023.11.14 |
[왕초보 사주기초] 04. 궁(宮)의 중요성 (1) | 2023.11.14 |
[왕초보 사주기초] 02. 사주를 배우면 좋은점 (3) | 2023.11.14 |
[왕초보 사주기초] 01. 체와 용 / 나 자신과 내가 하는 일 (1)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