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n Yang
728x90
반응형

3월은 양의 기운이 더욱 강해지므로 계수가 우선이요, 병화가 보좌다.

갑목은 삼월이니 봄이 깊어 목기운이 강하면 경금을 필요로 하지만, 을목은 겉은 부드럽게 보이나 속은 음험하여, 진월 까지 자랐더라도 경금을 필요로 하지않고 꼭 계수를 필요로 하는것은 양의 기운이 강해진 까닭이며, 목의 기운이 상당히 강하면 병화로 설기시키는 것이 길하니 이것이 갑목과 을목의 차이점이다.

계수와 병화가 나와있고 기토와 경금이 없으면 귀히되며, 기토와 경금이 있으면 보통사람이며, 혹 을목 하나에 경금을 만나고 기토가 없으면 약간의 부귀는 하지만 큰 발전은 못하며 경금과 기토가 혼잡되고, 병화와 계수가 전연 없으면 하격이다.

병화와 계수를 필요로 하는데는, 기토는 계수를 극하고 경금은 상관견관이 되므로 전부 격국의 병(病)이다.

을목이 경금을 만나면 그 경금이 병화에게 극을 받아 역할을 못하고, 계수는 그대로 존재하므로 큰 발전은 없어도 약간의 부귀는 한다.

병화와 계수를 필요로 하는데, 기토와 경금이 나오면 혼잡이 되어 탁하므로 하격이다.

을목은 겉으로는 부드럽게 보이나 속은 음험하므로 , 재성과 관성의 용(用)함을 탐하지 않는다. 고로 경금과 합이 되면, 자기의 뜻을 마음대로 펴지 못하므로 싫어한다.

혹 수 물의 기운이 많을 때 기토가 있으면 재능은 뛰어나도 중요한 시험에 합격은 못하고, 무토라야 다른 계통으로나마 발전이 가능하다.

수국(水局)이 되었더라도 병화와 무토가 나와 있으면, 경찰이나 군인이 되거나, 출세 이외의 다른 방면으로 명성이나 지위가 보장되고, 수국(水局)이 되고서 병화와 무토가 없으면 건달이다.

3월의 을목은 병화와 계수를 用함이 정당하나 수 물이 지나치게 많으면 무토와 기토를 사용하는것은 병(病)에 약(藥)쓰는것과 같이 상황의 변화이다.

임수와 계수가 많으면 봄 장마인데 기토는 제방이 못되므로 출세가 어렵고, 무토는 제방 역할이 되므로 명성이 있다.

임수와 계수가 나와 있지 않더라도 수국(水局)이 되면 물이 넘치므로, 무토로 제방을 하고 병화로 따뜻하게 비추어주면 부유해서 귀를 얻을 수 있어서, 다른 계통으로 명예를 얻지만, 계수와 병화의 배합된 격국 보다는 못하므로 한층 격이 떨어진다. 수 물이 넘쳐 목이 뜨게 되면 고향을 떠나 방황하게 된다.

계수가 많고 신금이 있어 수 물이 강하면, 무토와 기토로 수 물을 억제하면, 약간의 부귀를 하고, 토가 없으면 가난하고 일찍 죽기도 한다. 무토가 있어야 수명도 누리고 기술자도 될 수 있다.

계수가 약할 때 이나 금기운이 수를 도와주어 강해지면, 토로 억제하여야, 다른 계통으로 나마 발전이 가능한데, 임수와 계수가 전부 나와 있으면, 꼭 무토라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요절(夭折)을 면하고, 기토는 무력하여 가난하며, 병화로 따뜻하게 해 주지 못하면 봄장마 날씨와 같아서 잘 자라지 못하니 기술자 정도일 뿐이다.

혹 경진일 경진시가 되면 두개의 경금이 쟁합하여 가난하며, 화기의 극제가 있어야 군인이나 경찰이라도 된다.

을목은 겉으로는 부드러워 보이나 속으로는 음험하므로 강한 경금이 있으면 그쪽으로 정(情)이 쏠리고 월지가 辰이므로 종화(從化)가 용이하지만 다만 화기(化氣)가 실령(失令) 되었으므로 귀격이 못되며, 두개의 경금이 쟁합을 하면 화격(化格)이 못되어 을목이 상처를 입게 되므로 가난하게 되며 정화가 官을 억제해주면 식신제살이 되어 군인이나 경찰이 되지만, 경금을 억제하지 못하면 官도 煞이 된다.

계수를 用하면 금처수자(金妻水子)요, 병화가 用이면 목처화자(木妻火子) 이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묘월(이월) 을목  (0) 2021.09.28
난강망 사월 을목  (0) 2021.09.28
난강망 오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미월(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입하(立夏)의 을목은 고초(枯焦)하므로 4월은 계수만 전용하고 5월, 6월은 병화를 우선하고 계수를 뒤로 하는데 하지전에는 계수를 우선으로 한다.

여름철 목은 메말라 죽을 염려가 있으므로 계수의 조후가 급하며, 계수가 없으면 임수를 대용하고 혹 다른 오행이 用이 되더라도 수 물만은 배합상 없어서는 안되며, 4월 5월 6월 중의 중간인 하지가 경계로, 하지전에는 계수를 전용하고, 하지 후에는 먼저 병화를 전용하고 하지후에는 계수가 절대적인 보좌역할이 된다.

병화가 투출하면 목수화명(木秀火明)이 되고 또 계수가 나와 있으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할 수 있으며, 병화 하나에 계수 하나로, 화왕수약(火旺水弱)하면 귀는 적으나 오래산다.

병화가 간투(干透) 지장(支藏)된 사월(巳月)이므로 꼭 계수가 나와서 화의 기운을 억제하면서 목을 윤습하게 해 주어야 귀하게 되며 , 이병(二丙)에 일계(一癸)는 균형이 맞지 않으며, 여름철 목은 낮에는 볕나고 밤에는 이슬이 내리고 날씨가 더위에 알맞게 비가 내려야 하므로 丙, 癸가 있으면 그러한 배합이 알맞아 귀함을 얻지만, 수 물이 부족하면 귀함은 그만큼 떨어진다.

목화 상관격에는 꼭 인수가 있어야 하며, 수 물이 있으면, 오래살지만 수 물이 없으면 가난하게 살면서도 일찍 죽는다.

혹 계수가 지나치게 많고 병화가 없이 정화만 있으면 보통사람이다.

계수가 많으면 꼭 병화가 있어야 배합이 되는데 정화만 있으면 계수에게 극을 받아 상하므로 보통사람이다.

계수만 나와 있으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하기 어려우나 출세는 하며, 투출이 안되었더라도 자수와 진토 등이 있으면 보통 직장은 얻으며, 병화는 지지에만 있고 계미시에 월간이 기토이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은 못할지라도 다른 계통으로 빛을 낸다.

여름은 화가 강하여 목이 시드니 계수가 진신(眞神)인데 계수가 천간이나 지지에 있으면 귀함은 얻지만 병화와 함께 배합이 못되었으니 정도(正途)는 어렵다.

기토와 계수가 함께 나와 있으면 계수가 기토에게 비록 극제는 되지만 습한토는 배목(培木) 하여 윤택한 작용은 되므로 이도(異途) 현달이 가능하나 무토는 계수와 합이되어 화화(火化)하여 계수의 본분을 망각하게 된다.

​4월 을목은 사화 속에 병화가 있으므로 꼭 계수를 필요로 한다. 4월은 병화가 록(祿)에 해당되니 계수를 전용하지만 수의 기운이 절(絶)에 해당하니 꼭 금기운이 수기운을 도와야 하는데 경금은 을목과 합이 되므로 격리 되어야 한다.

계수와 경금, 신금이 함께 나오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 하지만 계수가 있으면 수기운의 뿌리가 없으므로 수재소부(秀才小富)에 불과하다.

이런경우는 꼭 금수운이 와서 도와야하며 토의 기운이 수기운을 극하면 빈천하고, 병화가 지나치게 많든지, 화국(火局)이 되면 실명(失明)한다.

4월은 계수의 절지(絶地)로 금기운이 수기운을 돕지 못하면 말라붙게되어 발전이 약하며 사화속의 경금은 병화와 무토가 성하여 수기운을 돕기가 불능하니 꼭 경금 신금이나 신유(申酉)가 있어야 좋고 아니면 서북(西北)운이 와서야 발달하며, 화기운 토기운이 많으면 계수가 증발되므로 있으나마나하여 곤란이나 고통을 받게되며 화기운과 토기운 운에는 장애가 생기고 침체된다.

을목이 화기운이 많으면 기산(氣散)의 문(文)이라 했으니 을기운은 유약한데다 사오미월에는 병사(病死)에 해당되니 계수가 흡족하게 수생목으로 도와야하는데, 병화와 무토가 지나치게 많다던지 또는 화국(火局)이 되면 결국 목은 불에타서 재가 되므로 병고(病苦)에 시달리던지 아니면 빈천하가나 일찍 죽는다.

계수를 用하면 금처수자(金妻水子)다. 사월에는 계수를 꼭 필요로 하니 인수가 자손이요, 인수를 도와주는 관살이 처가 된다.

결론적으로 사월 을목은 전용(專用) 계수이며 병화는 배합의 상대이니 꼭 금기운이 도와주어야 하는데 더욱이 신금이 투출하면 좋다.

사월의 을목은 癸用이 정당하며 혹 금기운과 수기운이 지나치게 많을 때에는 병화를 用하는데 그것은 특별한 경우이다.

경금은 을목과 합이 되지 말아야 계수를 돕게 되며, 경금은 양이고 계수는 음이므로 탁수(濁水)가 되기 쉬우니 신금이 수를 도와야 淸하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묘월(이월) 을목  (0) 2021.09.28
난강망 진월(삼월) 을목  (0) 2021.09.28
난강망 오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미월(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5월 을목은 정화가 계절을 주관하고 있으므로 모내기한 벼가 가뭄이 드는 형상이며 하지전에는 양(陽)에 해당하니 선계후병(先癸後丙)이요 하지후는 음(陰)에 해당되어 병화와 계수를 함께 필요로 하지만 금기운과 수기운이 지나치게 많으면 병화를 우선하고 그 외는 계수를 用한다.

5월을목은 하지전에 양절(陽節)이므로 계수가 우선이요, 하지후 부터는 음절(陰節)로 접어드니 병화와 계수를 존중히 한다.

그러나 여름철 을목은 조후가 급하므로 금기운과 수기운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병화을 사용하는 것은 예외이며 대부분 계수를 필요로 한다. 을목이 화기운을 많이 만나면 을목의 기운이 흩트러진다.

화국(火局)이 되면 을목의 정신이 설기되니 꼭 계수로 도와야하므로 계수가 투출하고 을목이 뿌리가 있으면 부귀를 전부 얻을 수 있으며, 혹 경금과 신금이 年에 있고 계수가 時에 나와 있으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 하지만, 계수가 없으면 보통사람이다.

4.5.6월이 되면 뿌리가 메마르고 가지가 위축되어 목의 기운이 전부 설기되니 계수의 도움이 아니고는 도움이 안되며 계수가 기후를 조화시켜야 묘하므로 계수가 천간으로 나오고 뿌리가 튼튼하면 부귀를 누리게 되며 수기운이 금기운의 도움이 있어야 근원이 튼튼하게 된다.

계수가 없이 병화가 나오고 화국(火局)이 되면 태양이 을목을 태우니 질병으로 고생하며 계수가 없으면 일찍죽고 임수도 약의 역할이 된다.

혹 화와 토가 지나치게 많으면 어리석고 천하다.

을목은 본성이 쇠갈(衰竭)하므로 갑목과는 비교도 않되며 계수는 자연수의 혜택이므로 귀가 되지만 , 임수는 관계수(灌漑水)이므로 해갈의 功이 있기는 하나 자연수에 미치지 못하니 富는 되지만 貴는 약하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진월(삼월) 을목  (0) 2021.09.28
난강망 사월 을목  (0) 2021.09.28
난강망 미월(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유월(팔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6월 을목은 성(性)이 고한(枯寒)하니 금과 수가 많으면 병화가 존귀한 역할이고 목국(木局)이 되어 목이 상하지 않고 병화와 계수가 투출하면 대부귀를 하고, 계수가 없으면 보통사람이며 수운조차 못만나면 고생한다.

대서 이후는 삼복에 생한(生寒)이라 했으니 금기운과 수기운이 과다하면 병화를 우선으로 하지만 그 외는 계수가 우선이며, 여름철 목은 삼복생한(三伏生寒)이라 하더라도 계수는 꼭 있어야한다.

목국(木局)에 경금이나 신금의 방해가 없고, 계수의 도움이 있으며 병화의 배합이 잘 되면 큰 부귀를 누리나, 계수가 없으면 木局이라도 쇠절기(衰絶期)에 접어들어 그 이상 발전할 수 없으니 보통사람이다.

5월과 6월은 목의 기운이 물러가고 고초(枯焦)하여 계수를 用하는데 무토와 기토는 병(病)으로 잡란(雜亂)시키니 하격이다.

혹 갑목이 있어서 토기운을 억제해주면 거탁유청(去濁留淸)이 되어 준수하다.

병화와 계수가 투출하고 갑목이 무토을 억제해주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할 수 있으며, 병화와 계수가 없이 정화만 있으면 보통사람이며 임수가 있으면 살기에 넉넉하다.

병화는 태양으로 기후를 따뜻하게 하지만 정화는 등촉(燈燭)으로 약하니 있으나마나 하고 계수는 우로(雨露)니 자연의 혜택이요, 임수는 관개수니 인력이 필요하며 힘에 있어서는 어림없다.

그러므로 같은 수기운과 화기운 이라도 계수와 병화의 배합은 부귀를 누리나, 정화와 임수의 배합은 역량이 부족한데다가 합의 염려까지도 있으며, 토기운의 방해가 없을 때는 갑목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주중에 수기운과 목기운이 없고 토기운이 많으면 종재(從財)가 되며 부대귀소(富大貴小)하고 돈으로 명예를 사게 되며 처덕이 좋고 , 화가 처요 토가 자식이다.

음간(陰干)은 종세(從勢)하므로 토가 강하면 토에 종하나, 갑목은 양으로 미토에 고근(庫根)이 되니 좀처럼 종하지 않으니 이점이 갑목과 을목의 차이점이다.

수(水)가 있어 윤토(潤土) 배목(培木)이 되면 부종(不從)하므로 水까지도 없어야한다.

종격(從格)은 종신(從神)이 용이니 재성이 자(子)요, 식상이 처(妻)이다.

혹 무토만있고 비겁, 인수가 없이 재다신약이면 부자집의 머슴이며, 갑목이 나와서 극(剋)해주면 부귀를 누리고 오래산다.

갑목이 기토만 있고 을목이 무토만 있으면 재성에 從해도 陽은 陽에 從하고 陰은 陰에 從하는 워칙에 위배되어 진종(眞從)이 못되고 또 從이 안될 경우는 재다신약이 되어 일생 가난하다.

부자집 머슴이란 비유하자면 부자집의 재산을 관리하는 사람으로 아무리 많이 취급해도 자기의 소유는 아니며 타인을 도와 타인은 부자가 되도록 도와줄 수는 있지만 , 자기 사업이 안되는 것은 일주가 너무 약해서 무거운 짐을 지고 갈 수가 없기 때문이며 , 갑목이나와있고 목기운과 수기운을 만나면 부자는 되지만 자신은 평생 고달프다.

병화와 계수를 겸용 할때는 병화가 신금과 합이되면 간특하거나 도박을 일삼아 부귀를 이어갈 재목이 못되고 하격이며 계수조차 무토에 합거(合去)되면 고향을 떠나 하천한 생활을 면치못한다.

병화가 합이되면 태양의 광명을 잃게되고 계수가 합거되면 가뭄이 연속되어 초목이 자라지 못하고 말라죽는다.

을목들만 있고 병화도 계수도 없으면 용신이 없으니 임금이 없이 신하들만 웅성거리는 격이 되어 뚜렷한 목표없이 그럭저럭 살아가며 신금이 암장되면 한가하고 외로운 운명이다.

6월 을목은 병화와 계수가 없이는 부귀가 불가능하며 암장된 신금만으로는 목을 억제할 힘이 없어 권위가 없으며, 편관의 성격은 고독하면서도 거만한 기가 있으므로 외롭게지낸다.

혹 갑목이 많고 병화, 계수, 경금이 전연 없으면 염치없고 말만 앞세우며 주색에 빠져 품행도 보잘것 없이 실속없는 허송세월이니 남녀가 일반이나 혹 制甲하면 능력이 있다.

갑목이 많으면 6월의 재성이 用이니 군비쟁재가 되어 있는 재산을 없애는 사람이니 주색이나 도박을 일삼고 아니면 부인이나 가족에게 행패를 부리며 심하면 불량배이다.

여름철 을목은 계수가 절대적이며 병화와 경금, 신금은 배합의 요소로 보좌역이다.

여름철 을목은 조후에 최우선을 두어야하고 주변의 사정에 따라 대응방법을 정해야한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사월 을목  (0) 2021.09.28
난강망 오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유월(팔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술월(구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7월 을목은 경금이 사령(司令)하는데 경금이 을목과 정(情)이 통(通)하지만, 천간 을목과 지지 경금과는 합이 어려우며 경금이 투출하면 을목이 상(傷)하게 된다.

혹 병화와 계수가 나오고 사주내에 세개의 기토가 있어 오금(汚金)시키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하고 기토가 투출되고 병화가 또 있으면 최고로 좋은 사주이며 갑목이 처(妻)요 화(火)가 자(子)이다.

7월 을목은 기토 용(用)을 기뻐하므로 혹 병화와 계수는 없더라도 기토가 없으면 안되며 기토 用에는 화가 妻요, 토가 子이며, 병화와 기토가 함께 있으면 대부귀를 한다.

7월은 경금이 전에없이 예리하며 정관이라도 살과 같으며, 을목과 경금이 비록 서로 합을 하는 정겨움은 있으나, 목이 7월에는 절(絶)에 해당하므로, 강한 금의 극을 감내하기 어려우니 관을 사용하는것이 불가능하며, 경금이 나오면 을목이 상처를 받게 되는데 신궁(申宮)에는 임수가 장생이 되어 힘이 있어 관인상생의 관계지만 그러나 生의 관계가 무정하므로 취용(取用)에 있어서 진퇴양난의 곤란을 겪게되니 병화 계수 이외에 기토가 있어서 조절해야한다.

기토는 비습하므로 임수와 혼합시켜 진흙으로 을목의 뿌리를 도우고, 경금의 예봉을 꺽어야 하기때문에 병화와 계수가 있어야 좋은 사주이다.

차라리 병화와 계수가 없더라도 기토가 꼭 있어야 하는것은 뿌리가 없이 떠있는 목에 햇볕에 쪼이고 비가온들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왜 기토만 필요하고 무토는 안되느냐하면 무토는 임수를 극하여 금이 목을 극하기때문이다.

갑목이 7월에서도 금이 많고 수기운은 작아서 종살이 어렵지만 무토가 임수를 극하면 종살이 된다고 하였다.

7월 을목은 꼭 기토가 있어야 묘하며 병화와 계수가 없이도 기토가 있으면 부귀하며 병화와 계수까지 있으면 크게 부귀를 누린다.

을목이 뿌리가 튼튼하면 경금을 用할수도 있다. 해미(亥未) 회국(會局)이나 기토와 임수가 혼합(混合)이나 이치는 마찬가지이며 7월 병화節에 기토가 투출하고 병화가 더 있으면 병화와 기토를 用한다고 했으니 신궁(申宮)에도 임수가 장생되어 있으므로 계수의 투출 여부에 관계없이 중요하다.

용병(用丙)이면 목처화자(木妻火子)요, 기용(己用)이면 화처토자(火妻土子)다.

7월은 목은 휴수되고 수는 진기니 인목과 묘목의 도움이 없으면 습한토로 배식(培植)의 기초가 되어야하는것은 갑을(甲乙)이 같다.

혹 계수가 투출하고 병화가 암장하고 경소(庚小)하고 기토가 없으면 보통사람이요, 病이 없더라도 계수가 투출한 사주는 글로 가문을 빛내고 명성이 있으며, 경금이 많고 계수가 암장하며 병화와 기토가 없으면 보통사람이요, 계수가 없으면 하격의 사주이다.

을목은 퇴기(退氣)의 목이라도 휴수(休囚)가 본성(本性)이기때문에 갑목이 금극목을 두려워하는것과는 다르며 신궁(申宮)이 있는 임수를 기토와 혼합하여 을목의 근기(根基)를 북돋아 주는 역할이 7월 을목의 취용(取用)하는 기본법이다.

사주에 기토가 없고 계수가 나와있으며 병화가 암장되면 계수로 관인상생을 취하나 병화가 없으면 격이 낮아진다.

사주에서 경금이 많고 계수가 지지에 있으면 꼭 병화와 기토를 활용하여 을목을 배근(培根)하고 따뜻히하면 초목이 잘 자라며, 병화도 기토도 없고 계수조차 없으면 하격이다.

계수로 설금생목하면 금이 처요, 수가 자식이다.

혹 진시에 태어났으면 화격(化格)이 당령을 하였으니 대부귀를하며 무토가 용신이고 병화와 정화을 꺼린다.

종화격(從化格)에는 生하는 土가 用이니 화가 처요, 토가 자식이며, 그외는 금이 처요, 수가 자식이므로 금이 당령했기에 처가 현명하면서도 아름다우며, 자식도 훌륭하며 이러한 이치는 7월 을목에만 국한된것은 아니며 모든 경우에서 같다.

종화격(從化格)은 기세가 일방을 편왕(偏旺)하므로 기세가 위주며 화신(化神)이 왕해야 하므로 화신을 생하는자가 用이니 화금(化金)에는 토가 자식이요 화가 처이다.

을목과 경금이 상합되니 부부가 화합되고 계수가 을목을생하니 자식도 현명하고 효도한다.

인사(寅巳)가 있어 화와 토가 강하명 희신과 용신인 금과 수기운이 상하니, 형처극자(刑妻剋子)를 하게 되는것은 당연하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오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미월(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유월(팔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술월(구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해월(시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8월 을목은 추분이전은 꽃이 활짝피지 못할 때 이니 계수를 우선하고 추분이후는 꽃이 활짝피었을 때이니 햇볕을 잘 쪼여야 되므로 병화를 우선하고 계수를 뒤로한다.

을목은 유약한데 휴수기에 접어들고 금기운 편관이 당령했으므로 추분이전은 계수로 살인상생이 되면서 통기가되고 추분이후는 날씨도 점차 추워지니 한목(寒木)으로 햇볕을 필요로 하고있으니 , 계수를 사용하여 살인상생을 하고나서 병화가 함께 배합되어 조화를 이루워야한다.

혹 금국(金局)이 되면 목이 상할까 염려가되니 정화로 억제하던지 아니면 계수로 통기시켜야하며 그렇지못하면 즉 종살도 못되고 정화도 계수도 없으면 병고가 따른다.

8월 을목은 병화와 계수를 함께 사용함이 귀하며 신금이 투출했던지 혹 금국이 되면 정화로 억제해야하며 신식제살이 되면 무관(武官)의 경우가 많다.

계수가 나와있으면 아들이 어머니를 만난것처럼 기쁘고 일생동안 풍부하며, 계수만 나와있으면 부유하고, 병화도 함께 있으면 부귀를 겸하며, 병화와 계수가 나와있어도 무토가 함께 있으면 다른길로 출세한다.

추분이후는 병화만있고 계수가 없으면 작은 부귀는하지만 , 계수만 있고 병화가 없으면 명리(名利)가 약하며 병화와 계수가 지지에만 있어도 능력있는 사람이 되지만, 병화와 계수가 없으면 하격이다.

추분후에도 병화와 계수가 조화를 이루워야 상격이니, 추분후는가을이 점점 깊어 습윤(濕潤)한 기운들이 이슬로 변화하므로 계수는 없어도 크게 흉하지는 않으며 한목향양(寒木向陽)이니 꼭 병화는 있어야 약간의 부귀라도 하게되며 계수가 있어도 병화가 없으면 한목(寒木)이 되어 생기가 없어지므로 명리가 허하며, 장병(藏丙)이면 화운에 발전한다. 목이 금에게 상하면 가난하고 일찍 죽기도 한다.

추분후는 계장(癸藏) 병투(丙透)하면 (丙戌時) 목화문성(木火文星)이 되어 크게 발달하게 되는데 그것은 계수는 지지에서 살인상생역이 되고 병화는 목화설수(木火洩秀)의 문성(文星)관계로 상격이다.

추분전에는 계수가 없으면 목이 고(枯)하므로 임수라도 있어야한다. 수 물이 없이 고목(枯木)이 되면 무용물(無用物)로 평범한 사람이며 , 무토, 기토가 많으면 빈천한 하격이다.

추분전에는 꼭 수기운이 있어야 하는데 없으면 하격이요, 있더라도 토에게 극제되면 빈천하고, 그러나 약간 기토나 축토, 진토 습한토는 있어도 장애는 없는데, 무토와 미토, 술토는 싫어한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미월(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술월(구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해월(시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자월(십일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9월 을목은 가지는 마르고 잎은 떨어질 때이니 꼭 계수를 만나야하고 그리고 또다시 갑신시면 등라계갑(藤蘿繫甲)이므로 좋다.

9월은 가을이 깊고 메마른토가 사령하므로 계수의 자양(滋養)이 없으면 고목(枯木)이 되므로 계수를 우선하고 그러나 인목과 해수등이 있으면 재성이나 관성, 식상등을 필요로한다.

등라계갑이 되면 갑목가 다름없으니 이것은 을목뿐만이 아니라 다른 음간(陰干)들도 양간(陽干)을 만나고 통근생왕(通根生旺)되면 양간의 사정과 같다.

계수가 신금의 도움을 받아 근원이 확실하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하고 계수만 있고 신금이 없으면 보통사람이고, 신금이있고 계수가 없으면 빈천하며, 임수가 많아도 술월이므로 목부(木浮)의 염려가 없으니, 보통사람 중에서는 상품(上品)은 된다.

9월은 메마른토가 왕하므로 계수만 있고 신금이 없으면 마르기쉬워 목이 메말라지므로 큰 발전이 안되고, 계수가 없으면 용임(用壬)하고, 수가 많으면 용무(用戊)하며, 혹 토가많고 무토가 투출하면 종재하는데 , 만약 인수나 비견이 있으면 재다신약이 되어 부잣집에 근무하는 가난한 사람격으로 자신은 고생스럽다.

용계(用癸)면 금처수자(金妻水子)인데, 월지 토가 극하므로 자녀의 발달이 어렵거나 자녀를 두기가 쉽지않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유월(팔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해월(시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자월(십일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축월(십이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10월 을목은 임수가 사령을 하니 병화가 중요하며, 임수가 많으면 무토가 꼭 임수를 견제해 주어야한다.

목이 해월이 되면 겉모양은 낙엽되고 시들어있는 모양이나 안으로는 생기가 돌며 껍질속으로 발육의 힘이 잠재 되었으니 꼭 생기가 점차 돋아나는 형으로 장생(長生)의 시기이고, 병화는 해월에는 절(絶)에 해당 되므로, 병화가 힘을 발휘하지 못하며, 겨울목은 햇볕을 쪼여야 자랄수 있으므로 한목향양(寒木向陽)이라 했으니, 병화가 용신이며, 임수가 태왕하면 목이 생장(生長)하는데 장애가 되므로, 무토로 억제해야하고, 임수는 당령했으므로 투출되지 아니해도 왕(旺)하다.

병화와 무토가 전부 투출되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하고, 무토만 나와 있어도, 중요한 시험에 합격 못한다 하더라도, 학자는 되며, 병화가 지지에 있고 화토운을 만나면 큰 발전을한다.

10월 을목은 병화가 위주이며 무토는 약(藥)에 해당 되므로 병화가 없이 무토만 있으면 부(富)는 되나 귀(貴)는 불능하며, 학자 정도다.

수 물이 많은데 모토가 없으면 을목의 뿌리가 약하며 뜨게되니 생활력이 약하여 놀고 먹기를 즐기며, 병화와 기토조차 없으면 처자도 거느리기 힘들고 수 물이 과다하지않으면 무토는 필요없다.

을목은 유약하므로 수 물이 많으면 표부(漂浮)하니 한가하게 놀기만하고 쓸모없는 사람이나, 무토가 있으면 의식은 충분하며, 기토는 수 물을 억제하는 힘은 약하나, 혼임배목(混壬配木)은 가능하므로 대용이 되며, 병화까지 겸하면 부귀도하고 처자도 원만하다.

월지 해수만으로는 수 물이 과다하지 않으니 무토와 기토는 필요없고, 병화와 정화를 필요로한다.

무토가 지나치게 많으면 갑목이 견제해 주어야 재능있는 사람이어서 재능은 뛰어나지만, 비겁 쟁재가 되어 시비가 끊이지않고 , 임수가 많으면, 수를 억제하는 무토가 있어야하고, 무토가 많으면 , 무토를 견제하는 갑목이 있어야 하며, 갑목이 많으면, 갑목을 억제해주는 경금이 꼭 있어야 약(藥)의 역할이 되며, 그러나 한목(寒木)은 병화가 절대적이요, 병화도 없이 사주가 기신의 병만있고 약이 없으면 남녀를 불문하고 가난하고 천하다.

목국(木局)이 되면 봄철의 목과 같으며, 계수가 나와있으면 무토가 구해주어야 하고 , 병화까지 함께 있으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 할 수 있으며, 병화와 무토가 없으면 , 스스로 무너지는 사주로 큰그릇이 못되며, 겨울철 나무가 목국이 되면, 목이 왕한 상태니 계수의 도움이 필요치않고 도리어 음습(陰濕)헌 욕할로 생기가 질식되니, 무토가 약이며 항상 병화는 함께 필요로한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유월(팔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술월(구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자월(십일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축월(십이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11월 을목은 얼어붙을 때이므로 을목의 뿌리와 가지가 시들어 떨어지니 병화로 얼어있는것을 따스하게 해 주어야 목이 자라며, 계수가 나오면 얼어죽게하는 격이니 불가하고, 만약 수가 나오면 꼭 무토가 꼭 있어야 약의 구실을 하게되며, 동지이전 까지는 양기가 움직이지 않을 때이니 병화가 있어도 안부존영(安富尊榮)에 불과하고, 동지이후는 일량래복(一陽來復)의 때 이므로 병화가 조화를 이루면 발전이 아주 크다.

두개의 병화가 투출하여 계수에게 상하지 않으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하고 , 두개의 병화가 지지에만 있어도 유능하나, 만일 병화가 없으면 귀함이 적다. 임수가 많은데 수를 억제하는 무토가 없으면 빈천하며, 인목과 사화의 장간속에 병화와 무토를 신금과 해수가 충하여 파손시키지않으면서 화운과 토운을 만나면 발전한다.

혹 수국(水局)이되고 임수와 계수가 나오면 무토가 있더라도 병화 없이는 빈한하며, 남방운이라야 의식(衣食)은하고 , 정화는 추위를 물리치기에 부족하므로 있으나마나다.

금과 수가 만고 화토가 없으면 하천한 떠돌이 생활이며, 토가 전연없고 화기운 만이라도 있으면 보통사람으로 하천한 생활은 면하고 , 정화만 있으면 간사한 사람이며 갑목이 정화을 도와주지 못하면 고독하게 지낼 사람이다. 그러나 갑목이 정화를 도우면 처도 어질고 자손도 착하다.

11월 을목에는 병화가 제일 중요하며 무토는 수의 병(病)울 제거하는 약의 역할이니 무토만 있고 병화가 없으면 을목이 표부(漂浮)되지는 않으니 의식은 하지만 생기가 없으므로 보통사람이다.

뿌리가 싹보다 우선이기에, 원국에서 병화의 뿌리조차 없으면 남방운을 만나더라도 발복이 부족하며 의식에는 걱정이없다.

병화는 태양이고 정화는 등촉으로 비유하니 따뜻히 하는데는 병화라야하므로 ,정화는 있으나마나하며 병화가 없으면 부득이 정화를 사용하는데 , 오와와 미토에 토근이 되고 갑목이 있으면 사용하지만 정화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병화만큼은 어림도없다.

정화만 있으면 힘이 부족하더라도 음목에 음화이니 자연히 음침하고, 목화통명으로 총명은 하게되니 결국 크게 간사한 무리가되며, 갑목은 정화의 정인이면서 을목에게는 등라계갑의 관계이니 자녀가 출세를 하게되며, 용정(用丁)이면 목처화자(木妻火子)이므로, 갑목이 있으면 현처자초(賢妻子肖)이며, 갑목이 없으면 외로운 홀아비 이다.

화가 있으면 천하게 되지않고 무토와 기토가 없으면 빈한하며 기후 배합상 조후는 꼭 이루어져야한다.

수국(水局)이 되고 임수와 계수가 나오면 나무가 뜨므로 빈천, 요절, 객사등을 면치못한다.

겨울철 을목은 수가 왕하므로 무토는 음급치료는 되지만 정화는 쓸모가없고 병화라야하며 용화(用火)는 목처화자(木妻火子)요, 용토(用土)면 화처토자(火妻土子)다.

겨울철은 조후가 급하니 병화가 위주요, 수가 강한것이 염려되니 무토가 보조의 약이다.

동지후로 목국이 되고 병화가 있으면 부귀요, 정화가 있으면 의식(衣食)이요, 계수가 투출한것을 꺼리며, 병화와 기토가 있으면 크게 부귀한다.

동지이후 대한전에 목국이되면 병화가 좋지만 정화도 가용(可用)이니, 한목향양격(寒木向陽格)으로 부귀하며, 정화는 병화보다 격이 낮다.

정화는 지지에 인사오(寅巳午)가 있으면 뿌리가 되고 계수를 꺼리는데, 기토가 있으면 약이되고 축토가 자수를 합하는것도 좋다. 그러나 임수가 나왔을 때에는 꼭 무토라야만한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유월(팔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술월(구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해월(시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축월(십이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12월 을목은 추울때의 목 나무이지만 병화 태양이 있으면 봄이 온것과 같다. 12월 을목은 11월과 같이 동목(凍木) 고지(枯枝)니 병화가 조후를 해야하며, 병화가 나와있으면 회춘(回春)한것과 같다.

병화가 천간으로 나오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하고 계수와 같이 투출하면 파격(破格)이요, 병화가 장간에 숨어있으면 가난한 학자이다.

그러나 남방운을 만나면 그 기간에는 발전한다.

12월은 수 물이 약해질 때 이므로 임수와 계수가 투출되지 않는한, 무토가 필요치않으며 무토가 많으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니 갑목이 있어야하고, 병화의 조후는 꼭 필요로한다.

무토와 기토가 많고 비견, 겁재가 없으면 종재격으로 큰부자가 된다.

사주에 기토만 있으면 음종음(陰從陰)으로 종재격(從財格)이 되며 병화가 토를 따스하게 비추어주면 , 추운 계곡에 봄이 온것과 같은 형상으로, 큰부자이며, 갑목이나 을목이 있으면 용신도 못되면서 파격(破格)이 되니 빈한하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乙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신월(칠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유월(팔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술월(구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해월(시월) 을목  (0) 2021.09.27
난강망 자월(십일월) 을목  (0) 2021.09.27
728x90
반응형

삼춘(三春)의 병화는 위세가 당당하고 대지에 가까워지므로 눈과 서리를 대수롭지 않게 여길만하니, 임수를 전용(專用)하는데, 임수는 병화를 파극(破剋)하는 상대가 아니고, 병화 태양을 보필하는 상대역인 바다와 같아 천화지윤(天和地潤)으로 균형을 맞추어 원활한 작용을 하게 되며 혹은 토와 상대가 되더라도 토중성자(土衆成慈)가 되므로 병화를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도리어 아름답게 하는 상대다.

1월은 임수를 전용하면서도 경금이 도와야하고 , 2월은 임수를 전용하고, 3월은 토가 많으면 회광(晦光)되므로 임수를 용(用)하되 갑목이 극토해야 병화와 임수를 보호하게 되므로 묘하다.

3월은 병화가 오양진기(五陽進氣)로 양회대지(陽回大地)이고 목의 기운도 있으니 목왕(木旺)에 화상절(火相節)로 세력이 병행(並行)되고 , 병화는 태양으로 만물들이 기뻐하며, 눈, 서리는 물론 얼음덩어리도 녹일수 있어 태양의 위력을 발휘하게 된다.

병화가 임수가 없으면 태양이 상대를 잃은 상태로 기세가 청하지 아니하며, 임수는 수보양광(水輔陽光)의 관계로 귀하게 된다.

1월은 갑목이 녹(祿)이 되어 월지(月支)에 목이 계절을 주관하면서 수와 화의 정겨운마음을 통관 시키므로 땅은 윤습하고 하늘은 화창하게 되고 수기운과 화기운이 서로 구제하는 아름다움이 된다.

병화의 세력이 강하면 토기운으로 화생토하고 설기시켜 구제하게 되면 부유함이 크고 귀함이 적으나, 이것은 수기운이 없으므로 부득이 차선(次善)의 방법인 까닭이다.

삼춘(三春)의 병화에게는 항상 임수가 위주며, 특히 인월(寅月)은 임수가 퇴기(退氣)로 휴수되고 갑목이 강하므로 경금이 갑목을 억제하면서, 임수를 도와야 하고, 진월은 토가 강하여 회화(晦火)시키고, 극임(剋壬)하므로 , 갑목이 극토(剋土)하고 생화(生火)하여 도와주어야 청하여 귀를 얻는다.

봄철에 병화가 계수와 함께 있으면 , 불청불우(不晴不雨)한 날씨요, 월과 시에 계수가 있으면 구름이나 안개가 자욱히 낀것과같이 현달(顯達)하지 못하니 임수라야 병화를 알맞게 보필한다.

병화는 임수와 상대가 되어야 구슬과 같이 영롱하게 빛이나며 계수는 우로(雨露)가 되므로 태양의 본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봄철의 사정만이 아니고 일년내내 마찬가지다.

양간(陽干)은 생왕(生旺)의 기세이므로 그 힘이 계속 확장되고, 음간(陰干)은 본성이 쇠정(衰靜)하므로 어느정도 공(功)을 이루면 물러서게 되니 이것이 양간과 음간의 기본 차이점이니 양간은 양간이 극제하여야 서로 상대가 되어 빛이나며 , 양간을 음간이 극하는 것은 극하고져하는 뜻은 있으나 힘이 미치지 못하므로 패기가 부족하니 최선의 상대자는 못된다.

갑목은 경금이 쪼개고 다듬는것이요, 병화는 임수가 강이나 바다로 보영(輔映)의 상대로, 무토는 갑목이 파헤쳐 소통시키는 상대요, 임수는 무토가 제방의 상대니, 전부 내가 강할때는 파괴의 상대가 아니고 균형을 이루는 최적의 상대이다.

그러나 경금만은 정화를만나야 과열되지않아 가장 적합한 상대로, 병화는 과열의 염려가 있으며 동시에 태양열에 비유되므로 날씨가 덥게 하는데는 제일이지만 , 쇠를 녹이는 데는 정화만 못하다.

그러나 경금이 쇠가 아니고 서리가 되어 생물을 죽이고져 하는 병(病)일 때에는 병화라야 햇볕에 눈이나 서리 녹듯이 하므로, 이것이 바로 오행의 통변이니 잘 활용해야한다.

1월은 삼양(三陽)의 시기에 접어드니 화의 기운이 점점 성해지므로 임수가 존귀한 상대요 경금이 보조해야한다.

1월은 갑목이 녹왕(祿旺)되므로 목왕(木旺) 화상(火相)이니 자연 임수를 상대로 해야 빛이나는데 임수가 퇴기로 무력하니, 경금이 도와야된다.

임수와 경금이 투출되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 하고 , 임수가 나와있으나 경금이 지지에 있으면 차선으로 출세한다.

임수와 경금이 투출되면 경금 재성은 나와있고 인목 인수는 숨어있으니 방해가 안되면서 약한 임수 살(殺)을 도와주니 자연히 길하여 출세를 하게 되고, 임수가 나와있고 경금은 신금에 숨어있으면 , 인목과 신금은 병화와 임수의 장생지(長生地)로 각각 필요한 곳인데 충이 되면 양쪽이 함께 손상되므로 흉하나 , 떨어져 있으면 각각 자기의 본분을 십분 발휘하게 되므로 최고는 못되어도 출세는 한다.

임수가 투출되어 방해가 없고 병화가 인사(寅巳)에 유기(有氣)하면 가살(假殺)이 되어 권위가 있으니 이름을 얻고 성격도 맺고 끊음이 분명하여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영웅호걸의 기상이다.

병화가 약하고 임수 살이 많은데 억제하는 무토가 없으면 웃음속에 칼을 품는 격이니 불만이 많고 모험심이 강하나 무토로 살을 억제하고 병화가 유기(有氣)하면 (병화와 정화의 협조) 크게 부귀를 누린다.

병화가 적고 임수가 많더라도 월지 인수가 살을 변화시켜 주니 상신(傷身)은 안되나 살이 많은 만큼 고통도 면치 못하므로 무토로 억제하여 주어야 병(病)에 약쓰는 꼴인데 일주가 약하면 剋과 洩이 겹치게 되어 약한 체질이라 강한 약을 쓸수없는 처지가 되므로 원기(原氣)기 되는 병화와 정화가 도와야 이상적이다.

경금과 신금이 혼잡되면 보통사람이고, 월과 시에 경금이 있으면 수재요, 신금이 두개가 투출되면 남녀간에 주색에 빠져들어 가정을 지키지 못하고 자신이 집안을 일으켜 세우지도 못한다.

병화가 강하고 임수가 없어서 재성을 용신으로 할 때 신금과는 합이되면 병화의 본성이 상실되므로 혼미해지고, 경금과는 합이 안되면서 양과 양이 상대하니 자신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만 경금이 약한만큼, 청귀(淸貴)할 뿐이다.

혹 무토가 많고 갑목이 나오지 않으면 회기(晦氣)가 되어 큰 인물도 어렵지만 빈천하고 객사할까도 두려우며 화국이 되면 꼭 임수라야 청귀(淸貴)의 요건이 되고 계수는 격이 떨어지며, 수 물이 없이 토기운으로 설기시키는 것은 보통사람이다.

1월 병화는 임수라야 진정한 상대며, 재성을 상대로 하거나 식상을 상대하는것은 부득이 차선을 택하는 것이므로 가용(假用)이요, 계수 역시 불청불우(不晴不雨)의 형상이므로 모두 보통인물에 불과하다.

화국이 되고 수 물기운이 없으면 염상격(炎上格)은 되나 득시(得時)를 못했기 때문에 동남운을 만나야 부귀를 하며 , 서북운을 만나면 고독하고 빈한하게 되는 것이니 격(格)만 이루어 졌다고 해서 무조건 부귀하는 것이 아니고, 꼭 요건에 맞아야하며 특히 전왕격(專旺格)은

때를 얻어 강해져야 부귀를 누린다.

염상격(炎上格)이 서북운을 만나면 염상(炎上)이 파괴되므로 염상과는 정반대로 조심이 지나칠 정도로 나약한 겁쟁이다.

갑목이 지나치게 강하면 경금이 암암리에 억제라도 하여야 청귀하며 수재가 된다.

임수가 없어 계수를 용신으로 하는 경우는 약간의 부귀는 가능하나 계수가 뿌리가 없으면 시력이 좋지 않으며 , 화가 강하여 염상이나 종왕일때 수가 충동시키면 죽지않으면 재앙을 겪는다. 임수가 用이면 금처수자요, 경금이 用이면 토처금자다.

1월 병화는 임수와 경금 상대가 정상적이요, 그외는 토로 설기시키는것은 격이 낮아지며, 임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무토를 用하고, 무토가 지나치게 많으면 갑목을 用하게 되는데 이런경우 격이 낮아진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丙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신월(칠월) 병화  (0) 2021.09.29
난강망 인월(정월) 병화  (0) 2021.09.29
난강망 묘월(이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진월(삼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사월 병화  (0) 2021.09.27
728x90
반응형

2월병화는 온도가 더 올라가므로 임수를 전용한다. 묘월은 양장(陽壯)하여 목나무가 갈증을 느낄 때이니 임수를 전용하지만, 임수가 병(病), 사(死)에 해당되어 약하므로 금이 보조 해야한다.

임수가 투출되어 정화와 임수가 합이 되지 않아야 기능을 발휘하며, 경금과 신금이 함께 나와 임수가 뿌리가 있으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 하며, 임수가 지지에만 있더라도 경금, 신금이 도와주면 부귀를 누릴수있다.

임수나 계수도 없어서 부득이 기토를 用해야 하는 경우는, 재주와 학문은 있으나 대귀(大貴)는 불능하고 작은 부자는 될 수 있다.

임수와 계수가 없어 기토를 用하면 화토상관격으로 기토가 천간으로 나와서 월지 묘목에게 극을 받지 말아야 총명하고 공부를 잘하여, 상관생재가 가능하니 귀함은 부족해도 부자는 될수있다.

임수가 과다할 때 무토가 있으면, 중요한 시험에 실패하더라도 다른 계통으로라도 명성을 얻고, 무토가 없이 경금과 신금이 수를 도우면 재살태과로 인하여, 하천한 사람이며, 진중에 있는 무토는 진중의 계수와 합을하여 임수를 극할 수 없다.

임수가 과다하더라도 월령이 인수니까 종살은 안되며, 살을 억제해야 하는데 진토와 축토는 습한토로 불능하고 , 미토는 묘미(卯未)로 局이 되니 불가하며, 꼭 술토나 무토라야 된다.

임용(壬用)에 무토가 많으면 갑목이 약인데 사주에 갑목이 없으면 목운에 발전은 하더라도 사주 원국에 목이 없으므로 크게 발전은 못되고 , 금운도 통기를 시키므로 길하나 , 수운은 마찰만 일으키니 흉하며, 화운은 무토 기신을 도우니 흉하고 토운은 크게 흉하다.

병자일 신묘시는 가살(假殺)이라도 실시(失時)가 되고 탐재배인(貪財背印)하니 조업을 계승하지 못하나 , 임수가 투출하여 뿌리가 있고 정화가 신금을 파괴해준다면 , 다른 계통으로라도 명성이 있고 부귀를 하며, 월과 시에서 신금이 투합되면 주색에 빠진다.

병자일 신묘시가 되면 묘목은 병화의 도와살에 해당되고, 자수는 목의 도화살에 해당되며, 병화가 자중 계수를 외면하고 신금과 탐합되니, 소탐대실(小貪大失)이며, 재성을 그리워하는 탓으로 주색에 빠지고 간사해지며, 임수가 천간으로 나오고 뿌리가 있고 병화를 극하면 다시 정신을 차리게 되고 신금도 임수를 보좌하는 관계로 돌아서게 되니 부귀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재성과 합의 관계니 여자와 교제가 많고, 용신 임수도 뿌리가 있으므로, 좋은 자식을 두게 된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丙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인월(정월) 병화  (0) 2021.09.29
난강망 인월(정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진월(삼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사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오월 병화  (0) 2021.09.27
728x90
반응형

3월은 화의 기운이 점점 올라가니, 전용(專用) 임수이며, 토가 많으면 갑목이 보좌해야 하나 임수는 꼭 있어야한다.

곡우 이전은 2월의 사정과 같으나 곡우후는 토왕절이니 무토의 투출이 없어도, 토가 강하면 임수가 위협을 받게 되므로 갑목이 꼭 임수과 병화를 도와 수보양광(水輔陽光)이 되어야 귀히된다.

임수, 갑목 두개가 천간으로 나오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 하고 , 임수가 천간으로 나오고 갑목이 지지 장간에 숨어 있으면, 큰부자는 되나 귀함은 적고, 갑목은 있는데 임수가 없으면 생활은 충분하며, 임수가 장간에 있고 갑목이 없으면 가난한 학자요, 갑목의 보조가 없을 때에는 경금이 토를 설기면서 금을 도와야 하지만 , 신약하면 감내를 못하니 불길하고, 임수도 갑목도 없으면 하천하다.

감목이라야 토를 억제하여 임수를 지켜지면서 병화를 돕는역할로 균형을 알맞게 할 수 있으며 경금은 부득이 대용하는 정도다.

임수와 갑목을 희용(喜用)으로 할 때는 정화도 기토도 임수와 갑목과 합의 관계를 꺼린다.

그러므로 정화나 기토가 있으면 격이 낮아지고 또은 보통사람이다.

혹 수국(水局)이 되면 무토가 약(藥)이 되지만 신강이 요건이요, 갑목의 살인상생이 최선이다.

수국에는무토를 약으로 쓸뿐이며, 신강해지는 인수운에 발달한다.

용임(用壬)이면 금처수자(金妻水子)요, 용갑(用甲)이면 수처목자(水妻木子)다.

용임(用壬)이 우선이요 용갑(用甲)은 수가 많거나 토가 많을때 부득이 대용하는 격이니 격이 한층 낮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丙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인월(정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묘월(이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사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오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미월(유월) 병화  (0) 2021.09.27
728x90
반응형

4월은 병화가 녹(祿)이 되어 더운기운이 피어오르니 꼭 임수로 견제하여야 하며 임수가 절지(絶地)에 해당되어 무력하니 꼭 경금이 나와서 도와야하고 지지에 신금이 있어야 태양 광명이 바다에 비추는 형상으로 빛이 영롱하게 살아나니, 문명(文明)의 상징으로 중요한 시험에 합격을 하고 부귀를 누리지만, 임수가 없으면 양(陽)만 외로히 상대를 잃은격이 되어 쓸모가 없고, 임수가 있어도 무토에 파극되면 쓸모가 없다.

임수가 투출하고 신금을 만나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이 가능하나, 해수만 있는 경우는 해속에 갑목에게 설기도 되고, 병화. 무토에게 극을 받아 마르게 되니 학자에 지나지 않는다.

임수가 없고 계수, 경금이 나와서 유근(有根)하면 귀소(貴小) 부대(富大)하며 지모가 출중하고 말솜씨가 뛰어나다.

병화는 임수와 균형이 맞아야 광명이 빛나고 영웅호걸의 기질이며 조금도 거짓이 없고 옹졸하지도 않으니 부귀를 하지만, 병화와 계수는 불청불우(不晴不雨)한 형상으로 명예보다는 이익에 치중하므로 부자에 그친다.

금수가 없이 화염토조(火炎土燥)하면 외로운길을 걷거나 아니면 가난하고 일찍 죽기도하는데 남녀가 같다.

경금이 많고 화에 손극(損剋)되지 않으면 귀(貴)는 못해도 부(富)는 가능한데 꼭 습한토가 통기를 시켜야 묘하다.

혹 병오일이 임수 살이 지나치게 많은데 무토의 제살(制殺)이 없으면 불량배가 되거나 도둑이 되며, 기토는 임수를 억제할 힘이 없으니 천하다.

하나의 살에 하나의 양인으로 균형이 맞아야 귀히되고 , 하나의 살에 양인이 여럿이거나, 하나의 양인에 살이 여럿이면 균형이 깨져 흉폭하다.

용임(用壬)이면 금처수자(金妻水子)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丙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인월(정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묘월(이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진월(삼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오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미월(유월) 병화  (0) 2021.09.27
728x90
반응형

오월(午月) 병화는 월령(月令)이 양인(陽刃)으로 화의 기운이 더욱 뜨거워 졌으므로 하나의 임수로는 부족하고, 두개의 경금과 임수가 투출해야하니 자월(子月) 동지 이전에 두개의 병화가 필요한 것과 같으며, 지지에 신금이 있어야 좋고, 신(申)만 있어도 신중(申中)에 경금과 임수가 녹(祿)과 생(生)의 관계로 뿌리가 튼튼하니 그것만으로도 금수운에는 부귀가 가능하다.

계수는 금의 도움이 없으면 말라붙기 쉬우므로 상대가 안되며, 안력(眼力)도 부실(不實)하고, 임수는 쉽게 말라붙지 아니하나 무토의 극제(剋制)를 두려워하고 임수의 합인 정화를 싫어하니, 만일 임정(壬丁)이 합이되면 임수가 화의 열기를 식히지도 못할뿐더러 도리어 화목(化木)으로 생화(生火)의 염력가 있다.

화국(火局)이 되어 염삼(炎上)도 못되면서 습토가 아닌 조토(燥土)만 있으면 화의 기운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화염토조(火炎土燥)가 되므로 종교계가 아니면, 홀아비, 과부등 외로운 신세며, 약간의 계수가 있어도 화와 토에 의하여 증발되니 용신도 못되고 파손된 수 물인고로 심하면 장님이 되며, 화염토조로 인하여 생산도 않되고, 타물(他物)과 공존도 못되니 처자가 있어도 형극(刑剋)되는 수가 많다.

이렇게되면 화와 토의 기세에 따라야 하므로 화와 토와 목운이 길하고, 금운은 흉하며, 수운은 충격이 되므로 크게 흉하다.

화염토조가 되어도 혹 부귀를 누릴수도 있으나 처자관계는 만족하지 못하며 만약 습한토로 설할 경우는 수운도 무난하지만 메마른 토인 경우는 상관견관(傷官見官)이 되어 흉하다.

혹 염상격이 되어 사주에서나 대운에서 금조차 만나지 않고 갑을목(甲乙木)을 만나면 크게 부귀를 누리지만 , 토로 설하면, 화염토조가 되어 부유함은 얻지만, 귀함은 얻지 못한다.

염상격은 목이 있더라도 수운은 크게 꺼리며, 금운도 화의 기운이 약해지므로 꺼리고, 목화운을 만나야 과단성이 있고 기(氣)가 살아나서 부귀를 누리게 된다.

경금과 임수가 전부 투출되면 부귀격 이지만 운을 만나지 못하면 승진길에서도 빛을 발휘하지 못한다. 경금과 계수의 배합만 되어도 부유함은 가능하고, 화의 기운이 약하여 계수가 상하지 않으면 눈의 질환은 염려없다.

토의 기운이 과다하면 임수와 갑목이 함께 있어야 부귀를 누리게 되는데, 임수가 병화의 상대역을 하면서 갑목을 도와주어 갑목이 화의 기운에 말라 죽지 않고 극토(剋土)를 할수 있게 함이다.

갑목이 없이 경금이 있어 식신생재(食神生財)가 되면 부유함은 가능하다.

오월 병화는 임수가 주(主)요, 경금이 보조이니, 금처수자(金妻水子)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丙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인월(정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묘월(이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진월(삼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사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미월(유월) 병화  (0) 2021.09.27
728x90
반응형

6월병화

대서 이전에는 5월의 사정과 같고, 대서 이후는 화의 기운이 점차 물러가고 삼복생한(三伏生寒)의 때로 기토가 강하니 성토생수(洩土生水)해야 하므로 임수가 위주요, 경금이 보좌해야하며, 병화가 약하면 임수와 경금을 갖추었다해도 동남운에 발전한다.

임수와 경금이 전부 투출되어 조화를 이루면 중요한 시험에 합격하며, 임수만 있으면 수 물기운의 근원이 없으므로 부귀가 작고, 오래 지속하기 어렵고, 임수가 나왔더라도 무토에게 극을 받으면 주변 환경에 속박되는 현상으로 작은 부자에 불과하고 , 기토가 임수를 탁하게 하면 보통 인품이고, 임수가 없으면 별볼품 없는 인격으로 남녀가 일반이다.

병화가 강하고 경금과 임수가 뿌리가 있으면 양극생음(陽極生陰)의 상(象)이니, 그대로 북서운에 발달한다.

미월 병화는 기토가 당령하여 설기되어 약하므로 임수와 경금이 배합되어 요건을 갖추었어도 신왕이 되는 동남운에 발전하고 , 신약이 되는 서북운에 재살에 위축되므로 가난해서 고생한다.

용임(用壬)에는 금처수자(金妻水子)다.

728x90
반응형

'[난강망] > [난강망] 丙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강망 인월(정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묘월(이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진월(삼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사월 병화  (0) 2021.09.27
난강망 오월 병화  (0) 2021.09.27
728x90
반응형

[ 生과 剋으로 알아보는 부모의 역할 ]

生은 정신적인 측면이 강하다.
剋은 현실적인 측면이 강하다.

나에게 잘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정신적인 측면이다. 잘해 주니까 기분이 좋다. 나를 괴롭히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현실적인 측면이다. 그것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으니 하고자 하는 일이 잘 안 된다. 일의 진전이나 성과가 나오기 힘들다.

生을 받는대로 기분이 좋아져서 현실적으로도 이어질수는 있겠지만 현실적인 측면이 강한사람은 生이 강하더라도 금방 잊혀진다. 현실적인 것이 더 강하니까 극적인 부분이 더 와닿게 된다.

부모님을 십성이나 육친으로 놓고 보면 인성적 부분을 엄마의 영역으로 본다. 나를 生 해주는 것. 木을 놓고보면 水가 木한테 인성이 되는것이고 火 기준에서는 木이 火한테 인성이 된다.

이러한 부분이 지나치게 강해지면 정신적인게 강해지니 현실감각이 떨어지게 된다.
정서적으로 하는일은 잘 하지만 현실적인 일에는 무뎌진다. 더뎌진다.

엄마가 개입을 많이 하면 할수록 아이의 현실성이 떨어지게 되어있다.
엄마는 아이가 활동할 수 있는 부분에 관해서 간접적으로 개입해야한다. 아이가 준비도 안되어있는데 이것저것 쑤셔 넣으려고 하는 것은 아이를 위한일이 아니다. 할 수 있게 기다려주고 도와줄 수 있는 것은 간접적으로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모성적인 부분이 너무 강하면 아이의 의존성이 지나치게 강해진다. 말 그대로 마마보이다.

그러한 정신적인 부분은 生으로부터 비롯된다. 그러나 그게 약한 사람은 그것이 문제가 된다.
生이 지나치면 현실성이 떨어진다.

剋은 財官으로 연결이 되어있다. 生은 인성과 식상으로 되어있다.
財는 내가 剋하는 것 이고 官은 나를 剋한다.

財는 현실 그대로이다. 돈이다. 돈을 직접적으로 쓸 수 있는 현실적 환경을 뜻한다. 지나치게 강하면 내가 반극을 당하게 된다.

아버지를 재성으로 본다. 남자는 편재를, 여자는 정재를. 남녀 모두 편재로 놓고 보기도 한다.
아버지는 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현실감이 중요하다. 집안 가족력이 강력하려면 엄마는 정신력이 강해야하고 직접적이면 안 된다. 엄마가 지나치게 개입하는 집안의 경우 그 자식이 현실감을 가지기가 어렵다.

아버지 복을 받은 사람 일수록 세상에 눈이 일찍 떠진다. 그렇다고 해서 어머니가 현실적인 측면이 없고 아버지가 정신척인 측면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어머니가 정신적인 측면을 대표하고 그 안에 현실적인 부분이 있다. 아버지는 현실적인 측면을 대표하고 그 안에 정신적인 측면이 들어있다.

어머니는 자식을 직접 낳는다. 말 그대로 生이다. 정신적으로 더 강력하게 느낄 수 밖에 없다. 내 배 아파서 낳은 것이다. 인성과 식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니 상징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이 강하다.

엄마는 직접적으로 낳은 부분이기 때문에 더욱 더 품으려고 하고 치맛폭에서 자라게 하려하기 때문에 집착이 될 수가 있다.

生의 경우에는 직접이 우선이다. 직접이 대표하는 것 이고 간접이 그 안에 들어가 있는 것이다. 剋을 할 때 대놓고 얘기하지 않는다. 돌려서 지적하거나 말한다. 剋하는 것이 직접적이면 剋이라고 할 수 없다. 일방적으로 하는 것을 剋이라고 하고 같이 부딪히는 것을 沖이라 한다.

정면으로 들어가면 대응 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원래 剋에 본질적 요소가 아닌 것이다.
剋이 외부에서 들어올 때 간접적으로 오는 것을 인지하는 힘이 현실성이다.

그러한 감각이 있는 사람은 초반에 문제를 해결한다. 문제가 있어도 자기한테는 오지 않게끔 대비를 해 놓는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사 방향은 이사방소법(移徙方所法), 방위생기법(方位生氣法), 오귀삼살방(五鬼三殺方), 대장군방위(大將軍方位)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새로 이사할 집 터가 좋으면 방위에 지나치게 얽매일 필요가 없다고 본다.

또 자기가 사는 집에서 120보(약100m)이상이면 이사 방향을 가리지 않고 임의대로 이사해도 무방(無妨)하다고 천기대요(天機大要) 방소법(方所法)에 나와있다.

따라서 바로 옆집이나 동네가 아닌 이상 차량으로 먼 거리를 간다면 이사 방향은 무시해도 된다하겠다.

이사 방향을 측정하는 기준점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의 안방이다.

[천기대요 원문]

자주옥일백이십보외(自住屋一百二十步外) 불문방소임의이사길(不問方所任意移徙吉)

- 자신이 살고 있는 가옥에서 120보 이상 떨어진 곳은, 방위를 불문하고 임의대로 이사해도 길하다. -

1) 생기복덕(生氣福德) 방위(方位)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으로 길한 궁위에 해당되는 방위를 고르는 방법이다. 이사하는 해의 가주 나이에 따라 길한 방위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장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에서 했으므로 이를 참고하기 바란다.

2) 이사방소법(移徙方所法)

일명 천록법(天祿法)이라고도 하는데 옛날부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법이다.

이사 방소법은 가주(家主)의 당년(當年) 나이와 구궁도(九宮圖)를 기본으로 한다.

가주(家主)의 당년 나이로 년궁(年宮)을 결정한 다음,
방소법(方所法)의 고정 순차를 배치하여 당년의 길한 방위를 찾으면 된다.
사녹손궁(四祿震宮)
징파(徵破)
동남쪽
구자이궁(九紫離宮)
퇴식(退食)
정남쪽
이흑곤궁(二黑坤宮)
안손(眼損)
남서쪽
삼벽진궁(三碧震宮)
식신(食神)
정동쪽
오황중궁(五黃中宮)
오귀(五鬼)
중앙
칠적태궁(七赤兌宮)
진귀(進鬼)
정서쪽
팔백간궁(八白艮宮)
관인(官印)
북동쪽
일백감궁(一白坎宮)
천록(天祿)
정북쪽
육백건궁(六白乾宮)
합식(合食)
서북쪽

◎ 방소법의 길흉화복 (方所法의 吉凶禍福)

일천록(一天祿) : 천록진록획재(天祿進祿獲財) - 관록(官祿)과 재산(財産)을 얻는다.

이안손(二眼損) : 안손손재안병(眼損損財眼病) - 손재(損財)와 눈병이 생긴다.

삼식신(三食神) : 식신영재치부(食神盈財致富) - 재물이 풍족하여 치부(致富)한다.

사징파(四徵破) : 징파도재손지(徵破盜財損志) - 재물을 도둑맞고 손재(損財)한다.

오오귀(五五鬼) : 오귀가택불녕(五鬼家宅不寧) - 집안에 우환과 근심이 많다.

육합식(六合食) : 합식부귀쌍전(合食富貴雙全) - 매사 형통하여 부귀를 다한다.

칠진귀(七進鬼) : 진귀귀숭재해(進鬼鬼崇災害) - 요사한 일과 재난이 많다.

팔관인(八官印) : 관인가관진작(官印加官進爵) - 벼슬이 오르고 승진도 한다.

구퇴식(九退食) : 퇴식가산퇴패(退食家産退敗) - 재산이 점점 줄고 망한다.


◎ 년궁(年宮) 찾는 법

남자는 구궁도의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세를 시작하여 구궁도 순차대로 나이를 세어가다가 자신의 나이가 해당되는 곳이 년궁(年宮)이다.

즉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2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3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4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5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6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7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8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9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0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11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12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13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14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15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16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17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8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9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20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21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22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23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24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25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26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27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28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29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30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31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32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33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34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35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36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37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38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39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40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41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42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43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44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45세, ...... 순으로 짚어나가다가 자신의 나이가 되는 곳이 년궁이 된다.

여자는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세를 시작하여 역시 구궁도를 순행하면 된다.
즉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2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3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4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5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6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7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8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9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0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1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12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13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14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15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16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17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18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9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20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21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22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23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24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25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26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27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28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29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30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31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32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33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34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35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36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37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38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39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40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41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42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43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44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45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46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47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48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49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50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51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52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53세, ...... 순으로 짚어나가다가 자신의 나이가 되는 곳이 년궁이 된다.


◎ 방위 결정하는 법

이사 방위의 길흉화복을 가리는 방법은 자신의 나이에 해당되는 년궁(年宮)을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방소법(方所法)의 순서에 따라

일천록(一天祿),
이안손(二眼損),
삼식신(三食神),
사징파(四徵破),
오오귀(五五鬼),
육합식(六合食),
칠진귀(七進鬼),
팔관인(八官印),
구퇴식(九退食)으로 배치하면 된다.

이때 방소법(方所法)은 년궁(年宮) 구궁도 숫자 다음부터 배치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년궁이 사녹손궁(四祿巽宮)으로 끝났으면
사징파(四徵破)를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오오귀(五五鬼)부터 육백건궁(六白乾宮),
육합식(六合食)은 칠적태궁(七赤兌宮),
칠진귀(七進鬼)는 팔백간궁(八白艮宮),
팔관인(八官印)은 구자이궁(九紫離宮),
구퇴식(九退食)은 일백감궁(一白坎宮),
일천록(一天祿)은 이흑곤궁(二黑坤宮),
이안손(二眼損)은 삼벽진궁(三碧震宮),
삼식신(三食神)은 사녹손궁(四祿巽宮)이 된다.


[예1] 올해 42세의 남자에게 길한 방위는?
먼저 42세 남자의 년궁(年宮)을 찾아야 하므로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2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3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4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5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6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7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8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9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42세가 된다.

간궁(艮宮)은 관인(官印)이므로 이를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방소법에 따라 구궁도에 배치하면
팔관인(八官印)은 오황중궁(五黃中宮),
구퇴식(九退食)은 육백건궁(六白乾宮),
일천록(一天祿)은 칠적태궁(七赤兌宮),
이안손(二眼損)은 팔백간궁(八白艮宮),
삼식신(三食神)은 구자이궁(九紫離宮),
사징파(四徵破)는 일백감궁(一白坎宮),
오오귀(五五鬼)는 이흑곤궁(二黑坤宮),
육합식(六合食)은 삼벽진궁(三碧震宮),
칠진귀(七進鬼)는 사녹손궁(四祿巽宮)이 된다.

길한 방위는 관인(官印)인 중앙과
천록(天祿)인 태방(兌方, 정서쪽),
식신(食神)인 이방(離方, 정남쪽),
합식(合食)인 진방(震方, 정동쪽)이다.


[예2] 올해 42세의 여자에게 길한 방위는?
먼저 42세 여자의 년궁(年宮)을 찾아야 하므로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2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3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4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5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6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7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8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9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42세가 된다.

태궁(兌宮)은 칠진귀(七進鬼)이므로 이를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육백건궁(六白乾宮)은 팔관인(八官印),
칠적태궁(七赤兌宮)은 구퇴식(九退食),
팔백간궁(八白艮宮)은 일천록(一天祿),
구자이궁(九紫離宮)은 이안손(二眼損),
일백감궁(一白坎宮)은 삼식신(三食神),
이흑곤궁(二黑坤宮)은 사징파(四徵破),
삼벽진궁(三碧震宮)은 오오귀(五五鬼),
사녹손궁(四祿巽宮)은 육합식(六合食)이 된다.

길한 방위는
관인(官印)인 건방(乾方, 서북쪽)과
천록(天祿)인 간방(艮方, 북동쪽),
식신(食神)인 감방(坎方, 정북쪽),
합식(合食)인 손방(巽方, 동남쪽)이다.

3) 태백살(太白殺)

일자에 따라 그 방향에 있는 살(殺)을 말한다.
태백살이 있는 방향으로 이사(移徙)를 하거나 출행(出行)을 하면 손해(損害)가 있다하여 일명 ‘손 있는 방위’ 또는 ‘손 있는 날’이라고도 한다.

흔히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을 ‘손 없는 날’이라고 하는 것도 여기서 연유한 것이다.

그 날은 살(殺)이 상천(上天)하여 무살(無殺)이기 때문이다.

1일, 11일, 21일 : 동방(東方)
2일, 12일, 22일 : 동남방(東南方)
3일, 13일, 23일 : 남방(南方)
4일, 14일, 24일 : 서남방(西南方)
5일, 15일, 25일 : 서방(西方)
6일, 16일, 26일 : 서북방(西北方)
7일, 17일, 27일 : 북방(北方)
8일, 18일, 28일 : 동북방(東北方)에 태백살이 있다.

4) 오귀삼살방(五鬼三煞方)

삼살방(三殺方)이라고도 하며, 겁살(劫殺), 재살(災殺), 천살(天殺)을 말한다.
년에 따라 존재하는 것으로 안방에서 120보(약100m) 이상 되는 거리는 이에 구애받지 않는다.

신자진 년(申子辰 年) : 사오미 방(巳午未 方) = 남방(南方)
해묘미 년(亥卯未 年) : 신유술 방(申酉戌 方) = 서방(西方)
인오술 년(寅午戌 年) : 해자축 방(亥子丑 方) = 북방(北方)
사유축 년(巳酉丑 年) : 인묘진 방(寅卯辰 方) = 동방(東方)

5) 대장군방(大將軍方)

대장군이 닿는 방위에 집을 달아 내거나 헛간, 화장실, 축사 등을 지으면 안 좋다.
그러나 안방에서 120보(약100m) 이상 되는 거리는 이에 구애받지 않는다.

인묘진(寅卯辰) 3년간 : 감방(坎方, 북쪽)
사오미(巳午未) 3년간 : 진방(震方, 동쪽)
신유술(申酉戌) 3년간 : 이방(離方, 남쪽)
해자축(亥子丑) 3년간 : 태방(兌方, 서쪽)

6) 상문살방(喪門殺方)

상문살(喪門殺)은 사람이 죽은 방위로부터 악살(惡殺)이 퍼져온다는 방위다.
방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옛날 농경사회에서는 한 집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 집에서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대 산업 사회에서는 이사(移徙)가 빈번해졌다.

이사(移徙)란 생활의 터전을 옮기고 가족의 생활환경을 완전히 바꾸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사를 잘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그 집안의 흥망(興亡)이 좌우되는 것을 종종 목격한다.

현재 살고 있는 집보다 더 좋은 터전으로 이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사하는 날의 일진(日辰)과 이사 방위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흔히 ‘손(損)없는 날’이라 하여 음력 그믐날이나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만 골라 이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사택일을 하는데 ‘손 없는 날’ 한 가지로만 좋다 나쁘다 할 수는 없다.

물론 손 없는 날도 중요하지만 여기에 좋은 길신(吉神)이 작용하는 날을 가미하여야 한다.

이사길일을 택하는 방법은,

첫째 고정되어 있는 이사길일을 고르고,

둘째 이사주당법(移徙周堂法), 황도(黃道), 천월덕(天月德), 역마(驛馬) 등 길신일(吉神日)을 찾고, 셋째 가주(家主)의 생기(生氣), 복덕(福德) 등을 합국(合局)하여 길일을 택한다.

1) 삼갑년순법(三甲年旬法)

60갑자(甲子)를 육갑(六甲)으로 나누어

생갑순(生甲旬),

병갑순(病甲旬),

사갑순(死甲旬)으로 분류하고,

당해 년의 지지(地支)를 기준으로 일진(日辰)의 길흉(吉凶)을 보는 법이다.

이사, 입택, 혼인, 취임, 부임 등은 생갑순(生甲旬)의 일진이 길하고, 병갑순(病甲旬)의 일진은 불리하며, 사갑순(死甲旬) 일진에는 사망이나 질병의 불행이 따른다.

[육갑(六甲)]

● 갑자순(甲子旬) =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 갑술순(甲戌旬) =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 갑신순(甲申旬) =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 갑오순(甲午旬) =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 갑진순(甲辰旬) =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 갑인순(甲寅旬) =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2) 입택귀화일(入宅歸火日)

귀화(歸火)는 조상(祖上)의 신(神)인 복신(福神)을 옮겨 모신다는 뜻으로,

이 날 이사(移徙)하면 좋다. 또한 새로 이사한 집의 ‘집들이’하는 날로는 더욱 좋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갑술(甲戌), 을해(乙亥), 정축(丁丑), 계미(癸未), 갑신(甲申)

경인(庚寅), 임진(壬辰), 을미(乙未), 경자(庚子), 임인(壬寅), 계묘(癸卯)

병오(丙午), 정미(丁未), 경술(庚戌),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일(辛酉日)

이 날들도 가주(家主, 집안의 주인)의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에 맞추어 생기(生氣), 천의(天醫), 복덕(福德), 보필(輔弼)에 해당되고, 천월덕(天月德), 역마일(驛馬日), 황도(黃道), 천은(天恩) 등 길신일(吉神日)과 합국(合局)하면 더욱 좋은 이사일(移徙日)과 집들이 날이다.

그러나 화해(禍害), 절명(絶命), 절체(絶體), 유혼일(遊魂日)에 해당되거나, 흑도(黑道), 천적(天賊), 천강(天?), 복단(伏斷), 수사(受死) 등 흉신(凶神)이 겹치는 날은 피한다.

3) 이안주당법(移安周堂法) = 이사주당법(移徙周堂法)

예부터 이사 택일하는데 이안주당법(移安周堂法)을 많이 이용하였다.

이사하는 날이 천(天), 이(利), 부(富), 안(安), 사(師)의 길(吉)의 5곳에 입궁(入宮)하면 길한 날이다. 그러나 재(災), 살(殺), 해(害) 3곳의 흉한 곳에 입궁(入宮)하면 흉한 날이다.

이사하는 달(月)이 음력으로 30일까지 있는 대월(大月)이면 안(安)에서 1일을 시작하여 이(利)을 향해 2일, 천(天)에서 3일, 해(害) 4일, 살(殺)에서 5일, 부(富)에서 6일, 사(師)에서 7일, 재(災)에서 8일, 다시 안(安)에서 9일...... 하면서 좌측으로 순행(시계 방향)하면 된다.

반대로 음력으로 29일까지 있는 소월(小月)이면 천(天)에서 1일을 시작하여 이(利)에서 2일, 안(安)에서 3일, 재(災)에서 4일......하면서 우측으로 역행(시계 반대 방향)한다.

이사 당일(當日)이 입궁하는 곳이 바로 그 날의 이사주당(移徙周堂)이 된다.

4) 이거길일(移居吉日)

이 날에 이사(移徙) 및 입택(入宅)하면 길하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경오(庚午), 정축(丁丑), 을유(乙酉)

경인(庚寅), 임진(壬辰), 계사(癸巳), 을미(乙未), 임인(壬寅), 계묘(癸卯)

병오(丙午), 경술(庚戌), 계축(癸丑),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기미(己未), 갑신일(甲申日)

이 날에 역마(驛馬), 월은(月恩), 사상(四相) 등 길신(吉神)이 합궁하면 더욱 길하다.

그러나 귀기(歸忌), 천적(天賊), 수사(受死), 등 흉신(凶神)이나 가주본명의 생기복덕으로 화해(禍害), 절명(絶命), 절체(絶體), 유혼일(遊魂日)에 해당되면 흉하다.

5)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

생기복덕법은 옛날부터 오늘 일진(日辰)과 방위(方位)의 길흉(吉凶)을 예측하는데 사용한 법으로 이사를 비롯해서 모든 택일(擇日)의 기초가 된다.

나이를 기본괘로 하고, 상지선동(上指先動)하여 작괘(作卦)한다.

일상생기(一上生氣), 이중천의(二中天醫), 삼하절체(三下絶體), 사중유혼(四中遊魂)

오상화해(五上禍害), 육중복덕(六中福德), 칠하절명(七下絶命), 팔중귀혼(八中歸魂)

◎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의 길흉화복

● 생기(生氣)

탐랑(貪狼)으로 극귀지상(極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천의(天醫) :

거문(巨門)으로 부귀지상(富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절체(絶體) :

녹존(祿存)으로 병권지상(兵權之象)이며 매사 부진한 일진과 방위다.

● 유혼(遊魂) :

문곡(文曲)으로 준아지상(俊雅之象)이며 이해상반의 별무득실한 일진과 방위.

● 화해(禍害) :

염정(廉貞)으로 살벌지상(殺伐之象)이며 매사 부진에 인상손재(人傷損財)한다.

● 복덕(福德) :

무곡(武曲)으로 극귀지상(極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에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절명(絶命) :

파군(破軍)으로 호쟁지상(好爭之象)이며 매사 부진에 인상다재의 대흉이다.

●귀혼(歸魂) :

보필(輔弼)로 간웅탐공지상(奸雄貪恭之象)이며 무사안일하고 별무득실하다.

6) 태백살(太白殺)

속칭 ‘손(損) 없는 날’이라고 한다. 매월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에는 손(損)이 없는 날이기 때문에 이사에 무방하다.

태백살(太白殺)은 날짜에 따라 그 방향에 살(殺)이 존재한다는 것인데,

1일, 11일, 21일은 동방(東方),

2일, 12일, 22일은 동남방(東南方),

3일, 13일, 23일은 남방(南方),

4일, 14일, 24일은 서남방(西南方),

5일, 15일, 25일은 서방(西方),

6일, 16일, 26일은 서북방(西北方),

7일, 17일, 27일은 북방(北方),

8일, 18일, 28은 동북방(東北方)에 있다.

그런데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에는

흉신(凶神)이 하늘로 올라가 지상(地上)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사(移徙)를 해도 아무런 피해가 없다고 한다.

7) 천상천하대공망일 (天上天下大空亡日)

이 날은 지상에 있는 모든 신(神)이 염라대왕(閻羅大王)의 호출로 회의하러 하늘로 올라간다는 날이다. 따라서 흉신(凶神)이건 길신(吉神)이건 지상에 신이 없으므로 이사를 비롯해서 터 파기, 기초공사, 집수리, 장례식 등에 이 날을 사용하면 무방하다.

특히 이사, 건축, 이장(移葬) 등에 날짜가 긴박하여 원칙대로 택일이 불가능할 경우 아래 공망일(空亡日)을 사용하면 해가 없다고 한다.

을축(乙丑), 갑술(甲戌), 을해(乙亥),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임진(壬辰), 계사(癸巳), 갑오(甲午), 임인(壬寅), 계묘(癸卯), 임자일(壬子日)

8) 복단일(伏斷日) = 인연을 끊는 날

복단일(伏斷日)이란 엎어지고 끊긴다는 뜻으로 대흉(大凶)하므로 이사, 혼인, 여행 등 백사(百事)에 불리한 날이다. 그러나 황도일(黃道日)을 겹치면 무해하다고 한다.

또 화장실(변소)을 새로 짓거나 수리하는 날, 어린 아이 젖떼는 일, 남과 인연을 끊는 일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복단일은 요일(曜日)과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일진(日辰)이 자일(子日)인데 일요일(日曜日)이면 복단일(伏斷日)이다.

  

9) 월기일(月忌日)

매사에 방해를 놓는 흉신(凶神)이 작용하는 날로 이사, 집들이, 장거리 여행, 결혼식, 잔치 등에 꺼린다. 그러나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에 해당되면 살이 제거된다.

매월 음력 5일, 14일, 23일

  

10) 천롱일(天聾日), 지아일(地啞日)

이 날은 흙 다루며 집을 짓거나 수리하는 등 백사(百事)에 유리한 날이다.

● 천롱일(天聾日)

병인(丙寅), 무진(戊辰), 병자(丙子), 병신(丙申), 경자(庚子), 임자(壬子), 병진(丙辰)

● 지아일(地啞日)

을축(乙丑), 정묘(丁卯), 신사(辛巳), 을미(乙未), 기해(己亥), 신축(辛丑), 신해(辛亥), 계축(癸丑), 을묘(乙卯), 신유(辛酉)

11) 황흑도(黃黑道) 길흉영정국(吉凶永定局)

황도(黃道)는 능히 흉살(凶殺)을 제살(制殺)할 수 있는 길신(吉神)이다.

이사는 물론 혼인, 기초공사, 안장(安葬) 등 모든 일에 대길(大吉)하다.

즉 천강(天罡), 하괴(河魁) 등과 같은 흉살(凶殺)이 있다하더라도 이를 모두 제거할 수 있으므로 모든 행사에 무방한 날이다. 그러나 흑도(黑道)는 대흉(大凶)하므로 피해야 한다.

황흑도길흉영정국(黃黑道吉凶永定局)은 월(月)에서 길한 날짜를 택일(擇日)하고, 일(日)에서 길한 시간(時間)을 보는 법이다. 모든 행사에 길한 날짜로 시간을 잡으려면 흑도일시(黑道日時)를 피하고 황도일시(黃道日時)만을 쓰는 것이 좋다.

[예] 음력 11월(子月)에는 황도일(黃道日)인 신일(申日), 유일(酉日), 묘일(卯日), 자일(子日), 오일(午日), 축일(丑日)을 택일(擇日)하고, 시간도 신시(申時), 유시(酉時), 묘시(卯時), 자시(子時), 오시(午時), 축시(丑時)가 길하다.

12) 오합일(五合日)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을 오합일(五合日)이라 한다.

흔히 혼인(婚姻) 날짜를 택일할 때 쓰는 법이다.

간혹 매스컴에서 “몇 년만에 들어오는 오합 대길일”하면서 여러 택일법 중 다섯 가지 이상이 합국(合局)되어 이루어진 날처럼 잘못 오도(誤導)하고 있다.

오합(五合)이란 해와 달이 합하는 날(日月合),

음양이 합하는 날(陰陽合), 백성이 합하는 날(人民合),

쇠와 돌이 합하는 날(金石合), 강과 하천이 합하는 날(江河合)이 각기 따로 있다.

따라서 60갑자일 중에서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이 들어가는 날은 모두 오합일(五合日)에 해당된다.

이 날을 좋다고 하는 것은 음양불장길일(陰陽不將吉日)과 득합(得合)하면 다른 길흉성(吉凶星)은 일절(一切) 불문(不問)하고 영세대길(永世大吉)하다고 하기 때문이다.

일월합(日月合) : 갑인일(甲寅日), 을묘일(乙卯日)

음양합(陰陽合) : 병인일(丙寅日), 정묘일(丁卯日)

인민합(人民合) : 무인일(戊寅日), 기묘일(己卯日)

금석합(金石合) : 경인일(庚寅日), 신묘일(辛卯日)

강하합(江河合) : 임인일(壬寅日), 계묘일(癸卯日)

13) 일반 택일상식

이사를 비롯해서 모든 택일에 가장 좋은 방법은 먼저 나이로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으로 가주(家主)나 자신에게 좋은 날을 택한다. 예를 들자면 생기일(生氣日), 천의일(天宜日), 복덕일(福德日)을 택한 다음 시중 서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대한민력(大韓民曆)이나 택일력(擇日曆)을 보고 길신(吉神)이 많은 날을 고른다.

민력이나 택일력은 일자별로 각종 행사에 좋은 날과 나쁜 날들을 모두 기록 해놓았다.

의일(宜日) 또는 유리한 날을 보아 자신의 생기법덕법으로 좋은 날과 일치시키면 가장 무난한 택일이 된다.

정통풍수지리학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대학 진학

첫번째로 그릇 즉, 사주 원국을 살핍니다. 글공부를 통하여 직업을 구하느냐의 여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인성의 동태가 중요합니다. 관인소통이 그 예입니다. 식상도 역시 중요합니다. 두뇌 총명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식상이 글공부 쪽으로 연결되느냐 아니냐입니다.

 

두 번째는 조후를 봅니다. 가령 水가 빠져 있으면 진득하게 붙어 앉아서 공부하는 게 잘 안 됩니다. 수는 움직이지 않는 성분입니다. 안 움직이고도 뭔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혜 智가 여기 배당됩니다. 수가 없으면 갈증이 나서 자꾸 밖으로 나다니게 됩니다. 반면 火가 없다면 가만히 앉아서 공부는 하나 배운 것의 발휘가 잘 안 됩니다.

 

세 번째는 대운. 특히 관과 인의 동태가 중요합니다. 관이 있어야 자기 제어를 해가면서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또 인성이 있어야 움직임 없이 정신적으로 잘 받아들입니다. 관과 인이 있으면 어쨌든 개근상은 탑니다.

 

대운에서 인묘진이 오면 원국에서 어떤 작용을 하더라도 일단은 공부하기 좋은 환경으로 봅니다. 어린 놈이 어린 나무 운을 만나 어린 짓을 하니 공부를 할 것이라는 논리입니다. 水 운도 괜찮습니다. 두 번째와 같은 이유입니다.

 

네 번째는 세운입니다. 여기서는 관인소통, 왕자희설을 봅니다. 비록 관인소통이 잘 안 되어도 왕한 기운이 잘 설기되면 능력 발휘에 어려움이 없습니다.

 

왕자입격

 

<격을 정하는 가장 큰 원칙 = 왕자입격>

 

旺者入格. 학교 앞에서 장사를 한다면 당연히 학교와 관련된 물건을 팔아야 성공합니다.

돌이 많은 곳에서 사는 사람은 집을 지을 때 돌을 많이 써서 짓는 게 당연히 효율적입니다.

이처럼 팔자에서 강한 세력이라는 것은 바꾸기 어려운 환경을 뜻하는 것입니다.

 

오행상 또는 조후상 그 강한 세력이 희용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렇습니다. 어쨌든 왕자는 버릴 수 없는 것이고 어쩔 수 없이 그 환경에서 살아가야만 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중화가 중요했을 것입니다.

근면 성실이 강조되고 대가족, 혹은 부락사회였으니까요.

더욱이 재주가 있어봐야 써먹기가 힘들었습니다.

가령 코미디언 같은 재능이 있다 해도 남사당패가 고작이었습니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다릅니다.

따라서 강한 세력을 지닌 글자가 그 사람의 무기 즉, 밥벌이 수단이 되는 게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런 이치로 왕자를 격으로 보라는 것입니다.

 

<조후>

조후는 큰 환경으로서 모든 것을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느냐 못 하게 하느냐의 인자. 조후를 잃으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자오묘유>

자오묘유가 왕하면 일류병.

뻑하면 “우리 아버지가 말이야” 하는 식으로 자기 파워를 과시하려 합니다.

 

<생명력>

생명이 살아 있다는 것은 반대의 기운이 섞여 있다는 뜻.

그래서 재관이 음양의 짝이 되는 것입니다.

 

<개인적 차이>

똑같은 재성이 와도 어떤 사람은 돈을 벌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못한 이유.

첫째 개인적 인자 즉, 성정입니다.

이는 문제 또는 상황에 대한 행동양식, 해결양식 등을 의미합니다.

둘째 운 즉, 기운과 계절입니다.

 

<성무설>

 

공자의 주장. 인간은 태어날 때 악하지도 않고 선하지도 않다고 봅니다.

이는 역학의 입장이기도 합니다.

서양에서도 타불라 라사라고 있습니다.

성격은 간지 구성에 의해 정해집니다.

이는 후천적 환경이기도 합니다.

뜨거운 프라이팬 위에 있는 병아리는 동작이 빠를 수밖에 없습니다.

부지런한 인간도 팔자에 그 요인이 다 있습니다.

 

<오행의 쏠림>

망할 때도 부지런히 망합니다.

 

<좌표론>

일지와 시주에 있는 글자는 빨리 써먹기가 어렵고

운 따라 써먹을 수도 못 써먹을 수도 있습니다.

 

甲 甲 甲 戊

子 申 子 子

 

관인소통으로 직장. 하지만 일지 관이니 운 따라 써먹습니다.

사업을 한다면 식상이 부재하니 유통업이 맞습니다.

양팔통이므로 운의 기복이 심합니다. (격이 깨져도 그렇습니다)

 

월지가 인성이니 평생 공부와 함께 살아갑니다.

인성이 旺者이나 日干은 음양의 짝인 편재를 쫓아갑니다.

이처럼 왕자입격을 어기면 운의 기복이 더더욱 심해집니다.

 

왕자입격을 살리려면 인성을 살려 임대업, 인허가 사업 쪽을 하는 게 좋습니다.

재산도 문서, 부동산 형태로 축적하는 게 좋습니다.

 

 

<지지의 국은 격>

 

지지에서 국을 이루면 격으로 칩니다.

이는 왕자입격의 같은 맥락.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인오술의 예를 봅시다. 술은 불씨를 감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자축을 지나갈 때 화기가 보호됩니다.

인오술을 갖추고 이것이 격이라면 반대의 기운 즉 해자축의 운을 만날 때 그 해로움이 반감됩니다. 다시 말하면 술이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평소에 술로 인한 보험료를 내고 있다고 봐도 됩니다.

 

戊 甲 庚 丙

辰 子 寅 戌 <坤>

 

관인소통의 인자도 있고 식신생재도 됩니다.

그런데 술해가 공망입니다.

그 술 위에 앉은 병화 식신도 공망으로 칩니다.

 

이처럼 식재가 공망이면 고리대금업, 사채업입니다.

왜냐면 빈 밥그릇 갖고 편재를 이루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또 노래도 다 안 불러주고 돈을 먹으려 들기 때문입니다.

아니면 인성을 살려서 임대, 자격, 인허가 쪽.

 

여자의 양팔통은 남자보다 훨씬 긍정적입니다.

양의 도움을 얻는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령 오빠, 삼촌이 어려울 때 도와주는 식입니다.

 

乙 丁 己 丁

巳 巳 酉 卯 <乾>

 

관이 없습니다. 식신생재 모양. 그런데도 공무원입니다.

대운이 남방 화운으로 갑니다.

즉 비겁이 득세하니 사업을 하기가 어려운 운입니다.

따라서 인성이라도 살려 그나마 공무원으로 갔습니다.

물론 고관은 어렵습니다.

사유 합으로 외교력도 있습니다.

화의 기운이 강하니 성정도 꽤 센 편입니다. 놀 때도 잘 놀 것입니다.

하지만 음팔통으로 잘 드러내질 못합니다.

양팔통이었으면 망할 때 망하더라도 한번 사업을 벌려봤을 법하지만 음팔통이라 안 되는 것입니다.

 

<丁화 일간>

 

화의 속성도 물론 있지만 정밀, 꼼꼼합니다. 정은 잃어버린 물건을 찾을 때 쓰는 프래시 같은 것입니다.

 

辛 己 乙 丁

未 卯 巳 酉 <坤>

 

음팔통 여자는 대체로 고달픕니다. 남자의 덕, 사회활동 등이 모두 그렇습니다. 초여름 한낮에 태어났는데 물이 없습니다. 이처럼 조후상 문제가 있으면 운에 따라 기복이 심하다고 봅니다. 연지 유가 공망. 따라서 손발을 묶고 돈을 법니다. 즉 임대업 등. 나중에 안마시술소를 했으나 역시 돈을 못 벌었습니다. 식신이 없거나 공망 맞고 돈을 벌면 대체로 고부가가치 사업입니다. 별로 주는 것도 없이 돈을 버니까 그렇습니다.

 

<커피숍>

 

이는 커피 장사가 아닙니다. 커피 무역이나 유통, 또는 시장 바닥에서 몇백원 받고 커피 파는 게 진짜 커피 장사입니다. 커피숍은 시설 임대로 들어갑니다. 커피 자체로 돈을 버는 게 아니라 자릿값을 받는 일이니까 그렇습니다.

 

庚 甲 庚 甲

午 寅 午 午 <乾>

 

관은 세력이 없고 인성은 없습니다. 따라서 조직생활을 하더라도 길게 갈 수가 없습니다. 그보다는 왕자인 상관을 따릅니다. 하지만 인성이 없으므로 사업상 극단을 달리 소지가 큽니다. 양팔통이므로 이같은 경향은 더욱 강하게 나타납니다. 식상의 분야인 생산, 제조, 기르는 행위 중 가구 제조업.

 

辛 辛 丙 癸

卯 丑 辰 卯 <乾>

 

관인소통. 하지만 월지 진이 공망이므로 관도 쓰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이거나 변화가 적은 조직생활. 편재를 봐서 사업을 하기가 쉽겠으나 음간의 속성상 운이 충분히 따라주기 전까지는 잘 안 나섭니다.

 

丁 己 癸 己

卯 酉 酉 卯

 

관인소통이 되고 있으나 관이 공망. 식신생재를 따라갑니다. 식신이 충으로 밥그릇을 들고 다니니 역마의 특성과 관련 일. 혹은 전문기술.

 

충과 역마 그리고 합

 

<충과 역마 그리고 합>

 

충은 모두 역마성을 띠고 있으나 인신사해 충은 역마 속성이 가장 강합니다.

자오묘유 충은 전문기술성, 꾀돌이. 반면 합은 외교력, 조화력. 人有合多 志無遠達이라, 합이 많으면 뜻이 먼 곳에 이르기 어렵습니다. 합이 너무 많으면 머저리로 봅니다. 이것저것 다 챙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 주변환경에 너무 얽혀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충 많은 팔자는 합이 올 때 변화가 많이 발생합니다. 그 반대도 성립.

 

甲 壬 丙 甲

辰 辰 子 辰 辰(乙癸戊)

 

관이 많으나 투출이 안 돼 있고 인성이 없어 조직생활은 어렵겠습니다. 재는 세력이 없으니 운 따라 활동 무대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합니다. 식신이 대세. 필설, 교육, 영업, 언론, 방송. 합이 있으니 외교력, 접객성.

 

이 사주처럼 장사하는 사주라면 관을 손님으로 봅니다. 이 팔자에서 수는 기신. 편재를 흐리게 하고 있습니다. 그런 터에 진은 자로부터 평소 보험료를 받아내는 역할을 하니 희신입니다.

 

그러나 이 진 때문에 피볼 일도 생깁니다. 사오미 운을 지나갈 때입니다. 이때 수가 완전히 허물어져서 화 운을 다 써먹어야 하는데 진이 수를 감싸고 포장함으로써 그게 잘 안 됩니다. 물론 월지 양인을 이용한 일을 한다면 부정적인 요소가 좀 줄어듭니다.

 

반면 아래 팔자에서는,

 

○ 戊 ○ ○

○ 辰 子 ○

 

진이 평소 비겁으로서 재물을 빼앗아가나 사오미 운을 지나갈 때 정재 자수가 허물어지지 않도록 감싸는 역할을 합니다. 평소 미운 짓만 하는 형제나 동료가 막상 본인이 어려운 일을 당할 때는 도와준다는 뜻입니다. 여기서도 평소 자가 진에게 보험료를 내고 있는 모양.

 

<오행과 지지의 차이, 설기>

 

오행에는 설기가 있어도 지지에는 없습니다. 가령 진의 경우 신을 만날 때 토생금이 아닙니다. 진의 모양이 변할 뿐입니다. 지지에는 또한 생도 없습니다. 지지는 다른 글자를 만날 때 그 속성이 바뀔 뿐입니다.

 

<진술축미와 오행의 토>

 

오행의 토는 목화로 진행돼온 양기가 더 이상 뻗쳐오르지 못하도록 거둬들이고 음운동이 시작될 수 있게끔 길을 열어주는 일종의 중매 역할을 합니다. 진술축미 역시 이와 비슷한 개념이긴 하나 세부적입니다.

 

그 작용은 거두고 숨기고 재생하는 것입니다. 가령 술은 화기를 거두어 해자축을 지나갈 때 숨겨두었다가 인묘진에서는 화의 운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준비했다가 사오미에서 재생시킵니다. 그리고 신유술에서는 금처럼 행동합니다.

 

<계축과 계미>

 

여자 사주에서 계축은 계미보다 훨씬 못합니다.

 

남편의 영양가가 없습니다. 축에서는 정인 경금이 입묘하고 상관 갑목이 관대지이므로 남편 앞에서 ‘쥑이라, 쥑이라, 내가 뭘 잘못했는데’라며 대듭니다. 夫德이 있더라도 한시적일 것이며 그 남편을 원망하는 세월, 도덕성을 저버리는 세월이 올 것입니다. 게다가 계축 자체가 양인을 깔고 있는 구조입니다.

 

반면 계미에서는 정인이 관대이므로 도덕성이 강하고 상관이 입묘하므로 결정적인 순간에는 남편 앞에서 꼬리를 내립니다. 물론 편관으로서의 흉의는 어쩔 수 없습니다. 즉 평소 남편이 썩 마음에 들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잘 났어 정말’하는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 癸 ○ ○

丑 卯 寅 ○

 

이 사주의 지지를 적어나갈 때 바로 필이 탁탁 꽂혀야 합니다. 우선 인. 정재 병화의 장생지입니다. 정재의 밭을 갖고 있으니 환경만 제대로 오면 바로 발화합니다. 따라서 ‘좋구나’가 나와야 합니다.

 

묘. 이건 식신의 록지이면서 천을귀인. 또 편인 辛금의 절지입니다. 편인 즉, 계모를 모르고 산다 함은 항상 당당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다 말년에 축을 만나니 고달픔 속에 식상에서 재를 구할 것입니다.

 

 

형의 직업

 

<형의 직업>

 

깎고 다듬고 꿰어 맞추는 동작에서 파생. 의료, 법무, 세무, 제조 쪽에서는 전문기술이 가미된 분야. 조정 업무. 충이 사고라면 형은 질병.

 

辛 己 丁 戊

卯 亥 巳 申

 

인성 사가 공망. 연주에 있는 상관은 교육, 필설, 어학, 예능 등으로 사용. 그런데 이 상관에 형이 붙어 있으니 깎고 다듬고 만드는 행위. 즉 상업예술, 광고. 상관을 기호식품으로 보면 가공식품 쪽.

 

辛 己 甲 戊

未 巳 寅 申 <坤>

 

연주 상관으로 역시 어학 등인데 인신 충이 있고 역마성이니 유학이나 어학연수를 갑니다. 간다면 어디로? 목이니까 동쪽, 일본입니다. 자식이 크면 객지로 내보내야 합니다. 안 그러면 남편과의 관계가 어려워집니다.

 

남편이 형의 직업 중 비교적 규모가 있는 조직에서 살아갑니다. 아니면 본인이. 인 운을 만나면 상관과 형충이 일어나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일지 사중 경금이 튀어나가 연지 신금을 거들면서 인신 충을 강화시킵니다. 그러니 안방에서 배필 무정입니다.

 

<破>

 

말로써 베든가 무형의 힘으로 제어하는 것.

 

丙 辛 戊 丙

申 亥 戌 午

 

관인소통이 훌륭합니다. 글과 학문이나 자격을 통해 일을 구합니다. 조직도 큰 조직. 월지 양인이고 일지 상관이므로 직장이라면 이런 속성을 살린 곳 즉, 교육행정, 교도행정, 언론방송, 홍보, 계몽 등. 인성이 세력을 얻었으므로 고시를 본다면 합격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지 해만 없었다면 거의 백퍼센트 확실합니다.

 

여기서의 술을 해를 극하는 것이라고 보면 꽝. 술은 오히려 해를 보호합니다. 즉 불씨를 감춰둠으로써 수기가 다치지 않도록 합니다. 진이라면 얘기가 다릅니다. 진은 해의 입묘지. 따라서 상관의 작용을 정지시켜 버립니다. 술은 해 즉, 임수의 관대지. 따라서 글이나 학문이 상관과 유정하므로 직업이 공부를 통해 상관성을 살리는 쪽이 되는 것입니다. 바로 위에 언급한 언론방송 등이 그것입니다.

 

甲 丙 甲 辛

午 子 午 巳 <乾>

 

사주정설에 나오는 사주. 양인으로 설치고 다니다가 호랑이에 물려 죽었습니다. 사주정설에는 안 나오지만 언제 죽었을까? 경인 대운입니다. 왜? 이 사람은 평소 양인이라는 칼을 휘둘렀습니다. 그런데 인에서 그 칼 정화가 사지에 들어갑니다. 또 인은 이 사람의 편인이므로 손발을 묶습니다. 칼이 죽고 손발이 잘리니 당연히 호랑이에 물려 죽을 수밖에 없습니다.

 

辛 壬 丙 甲

亥 寅 子 申 <乾>

 

식왕에 재왕. 팔자에 센 놈이 하나만 있어도 B~B⁺. 이 팔자 같으면 A~A⁺로 봐도 됩니다. 중국 유수의 갑부.

 

丁 戊 癸 癸

巳 子 亥 酉 <乾>

 

용신론자들이 말하는 재중용인격. 따라서 인비가 오면 좋을 것이라고 봅니다. 이는 애꾸의 관법. 이런 사람은 거지가 되어도 시골 장터가 아닌 동대문 시장에서 헤매고 다닙니다. 사주학에서 비겁을 용신으로 쓰는 법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丁 戊 己 庚 辛 壬

巳 午 未 申 酉 戌

 

이 대운 가운데 이 사람은 화운에서 큰 재물을 모았습니다. 이는 용신이어서가 아닙니다. 평소에도 재물을 희롱하는 능력은 좋으나 그것을 지키는 즉, 금고를 관리하는 능력이 약해 돈을 못 모았었는데 그 단점이 커버되어 돈을 모았다는 것입다.

 

辛 壬 己 戊

未 申 未 午

 

관이 왕하다는 것은 신호등이 곳곳에 있으니 내 맘대로 갈 수 없다는 뜻. 그러니 참고 버티는 걸 잘 합니다. 인성도 왕하니 공부도 잘 합니다. 소년 등과 팔자. 식상이 약하니 창의력은 떨어집니다. 이를 커버하기 위해 무조건 외웁니다.

 

관과 인

 

누가 얼굴에 침을 탁 뱉었을 때 부르르 떨면서 참는 것이 관. 인은 침이 마를 때까지 기다립니다. 인이 더 무섭습니다. 하여튼 관과 인이 강한 사람들이 중요한 시험에 강합니다. 죽기 살기로 엉덩이 붙이고 앉아 공부하기 때문입니다. 식상이 왕한 사람은 단기 시험에는 강하나 장기간 공부를 필요로 하는 시험에는 약합니다.

 

甲 甲 癸 戊

子 午 亥 申

 

식상생재가 너무 약합니다. 관이 멀긴 하나 인성과 근접하여 있으므로 결국 공부를 통해 직장생활.

 

癸 壬 戊 壬

卯 辰 申 子

 

편인, 편관이 왕한데도 공직에 간 이유는? 재성이 없기 때문. 즉 청한 사주입니다. 양인과 편인이 있으니 시험에 빨리 합격했습니다.

 

己 辛 甲 丙

丑 巳 午 子 <乾>

 

앞의 사주가 정관만 뚜렷이 통근 투출한 사주라면 이는 관살혼잡으로 탁한 가운데 자오 충으로 거살되어 다시 청해진 사주. 즉 탁중유청. 이로 인해 공보다는 사조직. 정관 병화가 사에 통근했다는 것은 신통력 집단으로서 금융, 언론방송 등.

 

특히 연지에 식신이 있으니 이는 머리를 쓰는 즉, 문필이나 요식 등. 만약 연지 상관이었다면 특수기관 쪽. 아무튼 이 사람은 언론 쪽이었습니다. 식신이 편관을 충하니 선출직 감투도 가능합니다. 부인의 건강이 안 좋습니다. 일지 사에서 병, 자좌 사지에 앉아 있으므로.

 

乙 庚 辛 辛 甲 庚 辛 辛

酉 戌 丑 丑 <乾> 申 戌 丑 丑 <乾>

 

위 두 사람의 부인은 어떻게 다를까?

 

왼쪽은 을목이 술 즉, 안방에서 입묘. 따라서 건강이 무척 안 좋습니다.

오른쪽은 술에서 양지. 겉으로 확 드러나는 건 아니지만 안방에서는 힘을 씁니다.

또한 자좌 신금에서 살인상생하니 왼쪽보다는 근기가 있습니다.

 

물론 양쪽 다 부인의 활동력은 약합니다. 이 사람은 정확한 생시를 몰라 이 방법을 써서 맞췄습니다. 이 사람은 인성이 강하긴 하나 관인소통이 약합니다. 어쨌든 인성이 강하니 평생 손에서 책을 놓지 않습니다. 축토는 俗門이 아니라 道門. 이 때문에라도 관인소통이 더더욱 약하다고 봅니다.

 

이 팔자에서 시지 목만 아니었으면 도사, 신선, 승려가 됐을 것입니다. 아무튼 하늘만 쳐다보며 세월을 보낼 일이 많을 팔자입니다. 음기가 강하고 특히 연월이 겁재이므로 여형제나 여자동창생의 도움으로 생계를 해결하며 살아갑니다. 만약 남자가 갑목 일간에 비겁이 왕하다면 양기가 강한 것이니 짝을 지을 수 없어 하나같이 내 재물을 빼앗아갑니다.

 

壬 甲 己 乙

申 午 丑 酉 <乾>

 

관인소통, 식상생재가 다 잘 돼 있습니다. 그런데 관이 연에 드러나고 재와 무리지어 있습니다. 또 재가 모두 정재입니다. 축토 또한 토이기도 하지만 수의 성분이 강합니다. 이런 이유로 금융기관에 들어갔습니다. 식상생재를 제대로 써먹기는 어렵습니다.

 

편재가 없기도 하지만 지지에 비겁이 없어 행동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연지 정관은 공조직이지만 이 사람은 재와 무리지어 있으므로 사조직 가운데 나라 국자나 백성 민 혹은 우리 등의 이름이 들어간 은행에서 일했습니다. 그후 직장을 옮겼는데 시지 신금이 신통력, 사통팔달의 인자이므로 서울이 들어가는 은행으로 갔습니다. 관인소통의 형태로 보아 임원까지 무난합니다.

 

己 辛 辛 丙

亥 卯 丑 午 <乾>

 

관인소통이 되고 있으나 관이 공망. 편인이 격을 갖추었으므로 유자격. 관이 공망만 안 되었어도 편인은 이공계이므로 기술직, 특수직, 별정직 등의 공직으로 갔을 것이나 이 사람은 상관생재를 따랐습니다. 특히 편재를 깔고 있으므로 사업성이 강합니다. 편인의 자격증을 이용하여 사업을 합니다.

 

甲 丁 戊 己

辰 丑 辰 酉 <乾>

 

축진 파가 있습니다. 파는 내부적인 것을 움직여서 용도를 바꾼다는 의미. 식상의 기술이 보다 전문성을 띠게 됩니다. 연지 편재가 공망. 따라서 재물을 이루고자 하면 두배 세배의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관인의 속성이 워낙 약하니 사업 쪽이라는 게 금방 드러나는 쉬운 사주입니다. 상관을 쓰는 사주는 직업이 가장 다양합니다. 그중 정인을 따라 학문이 가미된 분야에서 일합니다.

 

甲 辛 戊 丁

午 酉 申 亥

 

관의 세력이 약합니다. 인성도 마찬가지. 반면 비겁이 왕해 상관도 따라서 강해집니다. 상관이 지지에 있으므로 실물을 다룹니다. 그러므로 제조. 그런데 그 위에 관성이 있으므로 공적인 제조. 관인소통의 인자를 따른다면 교육에 해당하는 물건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상관을 해치는 글자가 없으므로 기술력이 좋습니다.

 

乙 戊 庚 壬

卯 戌 戌 辰 <乾>

 

이 경우의 관은 약합니다. 자좌 통근하고는 있지만 가을의 목이라 그렇습니다. 또 비겁이 많아서도 그렇습니다.

 

시상 편재 - 이병철

 

<시상 편재>

 

시상 편재를 중시하는 이유는? 재물이 대문 밖에까지 쌓여 있다는 뜻. 또 공익적인 재물이라는 뜻도 됩니다.

壬 戊 戊 庚

戌 申 寅 戌 <乾>

 

 

이병철 삼성 창업주. 월지 편관은 공망. 인성도 숨어 있어 조직생활은 어렵습니다. 반면 비겁이 왕하고 식신이 유기하며 시상 편재가 장생지를 갖고 있어 부자 사주입니다.

 

이 명식을 갖고 부자 사주가 아니라는 사람도 있는데 참 어리석기 그지없는 얘기입니다. 첫째 도대체 뭐가 부자 사주인지조차 모르는 저수준의 주장이고 둘째 결과적으로 사주명리학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니 말입니다.

 

인신 충으로 재성의 근기가 손상당하긴 했으나 유능함의 인자도 됩니다. 특히 임술의 술은 진이 와서 임수를 입고시키려 할 때 이를 막아줍니다. 무 일간 입장에서 술은 열쇠라고 보면 됩니다. 그러니 임수 편재가 술토를 깔고 앉은 한 입묘될 걱정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시상 편재라 함은 재물을 대문 밖에까지 쌓아두었다는 뜻입니다. 통상 시는 대문 밖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또 내 것이기보다는 공익성을 띤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을 크게 일으켜 많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했습니다. 시상일위편재격이라는 격이 따로 있는데 바로 이러한 의미입니다. 이 또한 편재가 시에 있다 해서 무슨 의미가 있다고 따로 격을 정하느냐 하는 것은 생각이 짧은 주장입니다.

 

인신충이 임수의 근기를 흔든 게 다소 문제이긴 하나 대운에서 중년 이후 사오미로 흐르면서 사신합, 인오술합으로 충이 해소되면서 식신생재가 활발하게 되었습니다.

 

자평진전식으로 보자면 월지 칠살은 흉신이니 제해야 합니다. 이때 인술합이 되어 오히려 부족한 인성을 보충하니 흉변길이 됩니다. 또한 식신제살로도 볼 수 있습니다. 아무튼 다소 신약한 사주에서 왕한 비겁은 인덕을 의미하고 칠살까지 제복해서 쓰고 있으니 대격임에 틀림없습니다.

 

<군비쟁재와 재성의 암장>

 

군겁 사주에서 재성이 약한 경우 아예 숨어 있는 게 좋습니다. 가령,

 

己 戊 壬 辛

未 寅 辰 丑

 

편재 임수가 천간에 드러나 있어 쟁재당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는 상관생재되고 있어 운 따라 큰 부를 이룰 수는 있습니다. 임수가 진에 입고해 있습니다. 하지만 옆에 축토가 이를 어느 정도 막고 있습니다. 축만이 아니라 해자축이 모두 이런 역할을 합니다. 시상 겁재라 안 좋습니다. 대문 밖에 도둑이 있으니 말년에 돈 욕심이 생깁니다. 또 자식 자리에 겁재가 있으니 자식이 수시로 도둑놈처럼 굽니다.

 

<식상과 직업>

 

식상을 잘 관찰하면 그 사람의 직업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식상은 배설물. 이를 통해 그 동물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낼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戊 辛 丙 辛

子 丑 申 丑 <乾>

 

쟁관되고 있는데다 그나마 관의 세력이 없습니다. 식신이 인성과 무리지어 있으므로 글과 학문을 쫓습니다. 또 식신이 재물을 쫓지 않으므로 세속적이 아니라 학문적입니다.

 

戊 庚 庚 己

寅 辰 午 亥 <坤>

 

관인소통이 되고 있습니다. 식신은 관과 인으로 에워싸여져 있습니다. 이는 교육성. 학부에서는 가정관리, 대학원에서는 교육행정, 활동은 교단.

 

壬 癸 辛 丙

戌 酉 丑 午 <坤>

 

연의 재성이 편인과 친합니다. 이 편인은 유기합니다. 따라서 이공계 학문이나 전문 자격 중심의 재물 활동을 구합니다. 식상이 없으므로 관성이 있어도 결혼이 쉽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론] 관성격의 진로  (0) 2021.09.26
[직업론] 재성격의 진로  (0) 2021.09.26
[직업론] 식상격의 진로  (0) 2021.09.26
인성격 진로  (0) 2021.09.26
용신별 직업분류  (0) 2021.09.26
728x90
반응형

정관격이 신강하여 첩신한 인성을 본다면 권위를 가지고 배운 이들을 다스리니 사법 연수원장이겠지요.

인성격이 배움을 가지고 정관을 보면 대학총장이 되겠지요, 이렇듯 달라집니다.

 

만약 곤명이라면 시집 갈 신부수업입니다. 정인이 관으로 가면 인, 허가권이 있겠습니다.

정관격은 지시하고 규격인 틀에 맞추는 일을 합니다.

 

편인을 본다면 규격에 맞추지 않고 자유분방 하니, 따로 혼자 공상하여 종교, 예술로 승화 시키겠지요.

 

정관이 비겁을 보면 동업형태인 같은 프로젝트에서 각자의 할 일을 합니다., 조직이며 집합단체이고

한 팀을 이룹니다, 무슨 각종 경기 연맹, 비겁이 왕해지면 그 조직은 분열, 와해됩니다.

 

관성이 남이 나를 본다면 인성은 내가 나를 돌아 보는 것입니다. 비겁이 태왕하면 조직 이탈입니다.

즉, 쟁재가 되어 재성인 사회생활이 힘들어지므로 경제관념이 없어 산속의 자유인 입니다.

 

식상을 보면 외부에서 하는 일이지요, 온갖 바이어 접대 등, 영업형태인 대리점 수준이겠습니다.

밖에서 일하는 외판, 보험업무 등, 상관은 나가서 몸으로 뛰는 것이라 이해 하십시요.

 

재극 인되면 임무에 소홀하고 업무도 잘 보지 않으니 늦게 출근하고 일찍 퇴근 합니다.

열심히 하려 해도 다른 일(공적인 비밀사)이 더 많이 생깁니다,

 

재생관이 되면 재의 헌신으로 학연, 지연, 혈연으로 내가 거느릴 영업장이 생기고 식구가 늘어납니다.

먹여 살릴 식구가 많으니 재단 이사장이 되겠네요, 대 세운에 변화를 많이 격을 수 밖에 없습니다.

똑똑한 사람을 많이 거느려야 하니 당근과 채찍을 병용합니다. 당연히 식구개념으로 갑니다.

 

정관격에 첩신한 오행이 천간에서 또 어찌 행하는가를 잘 살피시면 삶의 이치를 쉽게 볼수 있겠습니다.

팔자 불여대운이라, 명 좋은 것보다 대운(환경, 터전)이 좋은 것이야 말로 재생관의 개념입니다.

 

만약 사주명식을 극충이 될때 왕자충쇠 쇠자발, 쇠신충왕 왕신발을 이해 하십시요 ... ^^

단, 월령의 힘은 타 간지에 골고루 힘을 배분합니다, (팔자용신 전구월령).


편관이란 고통이다, 남의 고통을 감싸려는 힘이다. 자신의 고통보다 타인의 고통을 위해 노력하는 육신이다.

편관은 늘 외롭고 괴로움에 적응 하려는 힘이다, 첩신한 육신의 힘에 의해 이렇게 나뉘질 수 있겠습니다.

 

편관격이 식신을 보면 고통을 퇴치하는 힘이 생기니 질병이나 병균을 퇴치하는 직업에 종사 할수 있습니다.

험난한 세상의 재화를 복으로 바꾸는 힘입니다, 상대방의 괴로움을 이해하고 도우는 것이 식신입니다.

 

식신이 강하면 남의 고통보다 자신의 고통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니 자신의 몸을 위해 보험들고

진료하고 치료하니 건강 염려증도 생기겠습니다 ... ^^

 

만약 식신이 없거나 미약하면 남이 고통을 격어도 자신의 일이 아니라 생각하여 무관심하며

타인의 고통을 이용하려 할수 있습니다,

 

정인을 보면 고통과 괴로움을 배움을 통해 지식적 힘으로 이겨냅니다.

 

정인이 강왕하면 식신제살격의 총장이 되겠지요. 인성이 미약하면 고통퇴치를 말로만 부르짖습니다.

편인을 보면 술수, 모사, 꾀, 작전, 즉, 아이디어로 험한 세상에 적응합니다.

 

대체적으로 편관에서 벋어 나려는 힘이 편인입니다. 물질적으로 보자면 험난한 환경에 처한

힘들고 어려운 사람을 이용하여 재물을 취득합니다, (장애인 단체 요양원, 정신병원등)

 

욕심이 많은 자들을 이용하는 꾀가 되니 형이상학을 이용하는 구류술업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상관이 첩신하면 편관을 능멸하니, 힘있는 자, 권력을 가진자 편에 섭니다. 어려운 사람의 편은

절대 아니겠습니다, 자신의 이득을 의해 로비, 입찰, 수의계약등으로 권력과 공생합니다.

 

편관격에 상관이 왕하면 시련을 극복하려는 의지가 있으니 인권 운동가, 매스컴을 이용하여

민초에 전하는 사회운동가이고, 또 칠살을 이용하니 매사 구설이 따르지만 이들을 우리는

열사, 의사, 투사라 부릅니다. 여기에는 민초의 동조도 포함됩니다,

(상소문, 촛불집회, 안되면 혁명, 민란)

 

상관이 약하다면 그냥 권력 기생하여 범죄와 연관 되겠습니다. 재하청, 하도급, 택시나 용달차

렌트카, 지입차량과 관계있고 몸으로 때우는 노가다 십장도 될수 있습니다, (노조)

 

비겁은 사람을 이용하고, 상관은 권력을 낀 업체를 이용하니 관공서의 정보를 빼낼수 있는

뒷배경이 되지요. 재상살이 되면 권력을 밀어주는 밑 받침이니 권력을 이루는 조직입니다.

 

재극인이 되면 아래의 하부조직의 항명으로 자신이 위태로워 집니다. 편관격이 정관을 보면

업무가 중첩되니 통합을 해야합니다. 신왕하면 겸직도 가능합니다.

 

편관격의 식신은 고통을 제거할수 있는 힘이니 상관과 같이 있으면 월권행위도 됩니다.

즉, 정당한 월권은 정보부 내사, 검찰의 특수부등, 월권행위의 정당성이 부여됩니다.

 

편관격에 상관패인이면 결탁을 이용한 지식적 계보를 만드니 정당을 구성하겠습니다.

이렇듯 여러 육신의 格의 투간, 투출, 퉁근 사령을 살피시어 여러 갈래로 궁구하십시요.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론] 박청화 직업론  (0) 2021.09.26
[직업론] 재성격의 진로  (0) 2021.09.26
[직업론] 식상격의 진로  (0) 2021.09.26
인성격 진로  (0) 2021.09.26
용신별 직업분류  (0) 2021.09.26
728x90
반응형

正財格의 사람은 偏財와 다르게 임기응변을 잘못하며 융통성 또한 적다. 총명하고 信義도

있으며 성실하지만, 요령과 수단이 많지는 않다.

 

正財는 정당한 대가 이익을 얻는 직업이 좋은 까닦은 편재의 유통하는 역마성이

없으니 투기성 직업이나 사업에는 소질이 없으며, 사무실형 창구사업이다.

 

특히 명식에 比劫이 많을 경우에는 대단히 위험하다(쟁재). 나름대로 格局의 상태를 보아

안전한 자유업은 할 수 있으니, 여러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에 몸 담을 수 있다.

 

꼼꼼하고 빈틈없는 일처리와 정직한 性格으로서 직접 돈과 직결되는 업무에도 용이하니

금융업에 종사하는 것은 좋다. (곤명이라면 꼼꼼히 가계부도 잘 쓰겠다, 노랭이)

 

사채놀이나 증권투자와 같이 투기성이 짙은 관련업은 좋지 않으며, 正財의 특성상

투기 보다는 안전한 투자 쪽이 유리하다.

 

食傷生財格이 구성된 命은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생산업무에도 소질이 있다.

官을보면 직장의 사업이니 경영 쪽 회사원이다.

 

正財格이 잘 구성된 사람은 기업의 경영자와 같은 실업가로서도 성공할 수 있다.

평범한 직장 샐러리맨으로 적합한 타입이다.


편재격은 자신의 돈보다는 남의 돈을 더 많이 활용할 줄 알고, 財를 운용하며 이득도

잘 챙기는 전형적인 사업가 체질이라 하겠다.

 

사업가 자질이 충분하기에 무역업으로 크게 성공할 수 있으며, 외판업무로도 소질이

다뷴하여 유통하는 통신관계, 교통관계의 생산및 판매업도 대성할 수 있다.

 

활동적이고 많이 돌아다니면서 하는 판매업 내지는 영업직이 좋다. (인터넷 사업).

偏財와 官星이 적당하면 금융계통의 관리직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부동산, 사채놀이, 증권투자, 대부회사, 밀수와 같은 투기성이 매우 강한 업무에 종사

할 수 있으니 命과 運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 신흥재벌로서 일약 명성을 얻게 된다.

 

命과 運이 좋지 못한 사람은 社會惡을 조장하는 마약 절도 사기 매춘 도박 등으로

떼돈 을 벌려고 하다 한방에 훅 간다.

 

命造에 比劫이 많으면, 比劫을 다스려주는 五行(官)에 해당하는 사업이 아니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는 봉급생활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身弱(신약)하고 偏財가 旺하면 身强해지는 조건의 사업이 아닌 한 실패하게 된다.

 

그밖에 의약업, 정치, 세무관리, 역술인 등, 偏財格의 사람은 여러방면에서 소질을

발휘한다. 즉, 마당발이다, 해외에서도 적수공궘으로 성공한다.

 

재격이 식신과 유정하면 생산형 사업이고 식상격이 재를 보면 직장형인 것이다.

 

상관은 당연히 유통사업인 수입, 수출하는 재를 다루는 사업가이다.

약간의 편법이 끼어있다, 포장만 그럴듯 할수 있다.

 

인성과 유정하면 부모유산이나 대출로 재태크나 펀드, 주식 등에 관심이 있에

이권에 개입하지만 왕자충발을 생각해 보아야 명쾌한 답을 찾을 수 있다.

 

비식재의 구조가 되면 동업형 합자회사, 지분을 나누는 투자회사가 된다.

쟁재도 마찬가지 지만 꼭 관성이 유기해야 금전의 찬탈을 막을 수 있다.

 

財格이 官을 보면 당연히 사주의 구성을 보아 일반직이나 공직에 근무가

적당하다. 이때 재성이 인성과 유기하면 부업으로 투잡을 한다.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론] 박청화 직업론  (0) 2021.09.26
[직업론] 관성격의 진로  (0) 2021.09.26
[직업론] 식상격의 진로  (0) 2021.09.26
인성격 진로  (0) 2021.09.26
용신별 직업분류  (0) 2021.09.26
728x90
반응형

식신격이 편재를 用할때는 영업이나 거래 유통입니다., 즉 능력으로 사회참여.

편인을 제압하며 잇속을 챙깁니다.

 

정재는 점포방식이 되겠지요. 제조 판매, 후천적 배움을 쓴답니다., 사무실.

은행에 근무 한다면 편재는 대부계열, 정재는 창구.

 

편관을 用하면 재난을 극복하는 직종, 노후대책 연구소. 방역, 질병퇴치.

군, 검, 경, 사회악 근절, 내과, 암 전문 의사.

 

식정관은 합으로 협력하는 회사. 공존형태, 납품회사, 공권력과 유착이겠네요.

 

정인은 자신을 업그레이드 하겠지요, 즉, 인성의 자격증은 발휘합니다,

식신의 기술에 인성의 상표특허나 자문 자격증.

 

정인격이 식신으로 가면 연구 발표나 논문이 되겠습니다.

 

편인은 스트레스로 요양을 떠나는 현상이니 종교사상. 예술에 사상을 접목.

스트레스를 넣으니, 수필, 시집, 기행문. 경험담을 얘기 합니다.

 

세상에 지친사람이 쉼터 제공, 출판사는 편인 + 식신.

사상이 들어간 기술, 창조적인 공상과학, 만화.

 

비겁은 동버하다 투자받다, 투자는 돈, 자신은 기술력이 됩니다.

비견은 후원자 개념이고 겁재는 인력동원입니다.

 

재를 극하면 내가 기술자이며 종사업무를 맡습니다.


상관이 정인을 보면 국가가 인정한 자격증입니다. 관을 보면 징벌이나

칼을 대는 자격인 법조인이나 의사일 것입니다.

 

관이 없으면 교육적 자격이니 교수입니다.

 

편인을 보면 사상, 종교 문학, 예술, 형 이상학적 교육, 퇴마사, 스님,

목사. 구류술업, 종교단체 심리상담등의 비공식적 자격증이지요.

 

편관을 보면 로비스트나 결탁을 통한 수의계약 등의 전문가입니다.

어찌보면 험한 세상을 살수 있도록 도와주는 형태의 직업군이지요.

 

각종 시행업무, 분양, 개발투자, 각종 사업자와 권력과의 결탁으로

이익을 발생시킴.

 

관급공사 주선업무 종사자, 소비자와 농민을 연결하는 도매업자.

엔터테이먼트, 학원개념, 각종 광고회사, 사설 신문잡지,

 

관공서의 비공식 인허가, 인성이 유정하면 방송 언론인.

 

정관을 보면 불법, 편법, 도둑이나 강도, 둘이 있다가 혼자 되는 상황.

상대방과 상의없이 혼자하는 행동. 이혼남녀, 실업자, 스파이,

 

혼자 할수 있는 모든 일, 각종 수석이나 골동품, 우표 등의 수집 전문가.

 

정재를 보면 마진률이 높은 점포나 사무실. Vip를 상대하거나 멥버 쉽.

 

편재는 외국 출입, 외국인 회사, 비행기, 해운, 수송.

 

비겁은 상관의 행위에 비겁의 겁탈적 잔대가리가 가세하여 이익창출.

담보형 사채업자, 인센티브형 투자 전문가, 자신의 이익에 급급.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론] 관성격의 진로  (0) 2021.09.26
[직업론] 재성격의 진로  (0) 2021.09.26
인성격 진로  (0) 2021.09.26
용신별 직업분류  (0) 2021.09.26
격국별 직업  (0) 2021.09.26
728x90
반응형

인성격 진로

 

격이란, 진로, 적성, 직업, 전생으로 나타나는 것은 학우님들께서 다 아시리라 믿습니다.

단 그 격의 쓰임은 用으로 나타납니다, 진로용신, 행운용신.

 

월지의 사령이 격의 기준이 되겠습니다. 월지의 명령을 받아 천간으로 투출,

또는 투간한 오행의 향방을 또 살펴야 합니다.

 

결국 인성으로 천간에 투출 하였어도 지지에 근이 없는 오행은 무용지물이라는 말입니다.

 

정인격에 관을 용하며 관인상생으로 직장용도로 쓰입니다, 사무 행정, 교육이지요.

편관이라면 과로. 과중되어 남을 위해 조금 힘든 일을 하게 됩니다.

 

편관은 고퉁의 대명사입니다. 식신으로 제살하면 남의 아픔을 치료하는 병리사, 의사,

약사계통이지요. 단 식신이 강왕하면 남의 고통을 모르는 척 할 수도 있습니다.

 

편관이 己 = 記(기록할 기)이면 남의 고통을 글로써 표현하는 것입니다.

 

인성과 나와 식신이 잘 이루어지면 전문가 형태입니다, 개혁적인 사람입니다.

프리랜서 활동도 가능합니다.

 

상관은 편법(노조)이 되겠지요, 하지만 인성과의 조합이 원만하면 패인으로

금뺏지를 달 수도 있답니다.

 

정재는 부모유산이나 대출로 재태크입니다, 쉽게 가려는 마음이 내재합니다.

편재는 각종 이권개입으로 나타나고 사무행정, 교육에서 이권을 챙깁니다.

 

정인의 재극인은 시대적 변화에 잘 편승하지요, 부동산, 증권, 보험등.

각종 중재가 필요한 시대적 변화요소, (금감원, 문서사고)

 

비겁은 사무, 행정, 교육이 순수학문으로 자연학문, 고전학문, 전통교육, 예절교육,

정인이 비겁을 생하면 전통사상이 있습니다.

 

사람이 순수, 동양철학, 종교, 풍류도, 한량, 백수. 산속의 자연인입니다 ....


편인格이 편재로 재극인이 되면 각종 공덕. 약한 사람, 정신이 피폐한 사람을 위한 직업.

약사, 식품영양사, 각종 보육원, 정신의학을 통한 공식적 국가자격증.

 

정재를 보면 계급이 약간 하향된 보조역할, 의료기관 임직원 심리상담사. 간호사,

재 태크하는 투잡 직종.

 

정관을 보면 백사무효, 재생관이 돼야 쓸수 있다, 단체에서 개인의 정신적 허점을

이용한다, 은행상대로 대출, 절을 상대로 스님, 교회나 성당의 목사 신부,

종교의 교주. 세무소, 브로커. 神의 대리자, 제자.

 

칠살을 보면 편법을 이용, 상대편의 심리을 교묘히 이용, 법의학자, 감사, 감찰.

상대편의 전략전술을 이용하는 야당 정치인. 장자방, 한신, 역술인.

 

식신을 보면 의식주를 해결하지 못하는 의탁자를 이용하여 돈을 번다, 노약자, 환자.

재생원, 비만크리닉, 편인이 노인이면 식신은 어린이, 할아버지 할머니 손에서 큰다,

각종 장애인 의료장비, 삼각 지지대, H빔, 거치대, 각종 보조기구, 악세사리.

수극화는 안경점, 토극수는 보청기, 금극목은 공예,

 

상관은 법을 이용하여 은밀이 추진하는 직업, 퇴폐업소, 터키탕, 음성적인 직업.

세금탈루, 정부에서 하지 말라는 모든 것. 각종 투자자문, 컨설팅, 직업소개소,

코디네이터, 광고업체. 인물 마케팅의 결혼 정보회사.

 

비겁은 자율적, 형이상학, 종교사상, 지나치면 고민, 우울증, 망상환자, 정신병원.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론] 재성격의 진로  (0) 2021.09.26
[직업론] 식상격의 진로  (0) 2021.09.26
용신별 직업분류  (0) 2021.09.26
격국별 직업  (0) 2021.09.26
십성별 직업의 특성  (0) 2021.09.26
728x90
반응형

인성용신의 직업

1. 일간이 신약할 때, 억부용신. 生(지나치게 생조하는가를 보라, 실수가 나온다.)

비겁이 왕해져 재를 극하기 때문이다.

2. 관이 많거나 왕할 때, 扶용신. 和(실수보다는 사건위주가 된다)

남편이 놀거나 모계혈통으로 된다.

3. 식재가 왕한 경우, 抑용신 剋

4. 조후로 쓰는 경우, 편안함

 

인성의 직업 (인성용신과 유사한 것이 인성왕자, 다자, 인성격, 무인성)

 

1. 무노동적이다.

2. 지식적

3. 품위적

4. 자기 본위적인 것

5. 돈벌려고 일 안한다. (취미적, 심심해서 일한다고 함)

6. 감각적이다. (식상이 더 해져야 한다)

인성의 직업 단계 (대 학자에서 실업자 중간에 문화센타 다니는 사람으로 분류)

대학자, 예술인, 작가, 선생님, 판사, 연구원, 설계사, 총무과, 인사과,

봉사자(집안 책임지는 것), 언론인, 출판, 문화,

문화센타, 만학도, 모델, 사진, 까페주인, 임대업, 복덕방, 학원사업, 모양새가 단정,

전화교환, 상담, 예술품 장사, 교양녀, 수집상, 골동품상,

여행사(편재가 끼어야 한다)

실업자, 정신병자, 우울증, 마약, 광신도, 종교가.스님, 목사,

편인, 자기 본위적인 것, 독립적인 것, 자영업 (남 믿지 못하는 것),

보호할 사람을 필요로 하던지 자기 시간 뺏기던지,

자기가 책임져야 하던지 누가 말을 해도 듣지 않는다.

결론이 안나면 잠도 못잔다. 구박하면 안되고 상담을 해야 한다,

상담시 뭔가 실체로 보여줘야 한다, 자기 경계선이 있다. 간길만 간다.

정인. 단체성 있고 의존성 있다. 결론없는 하소연을 한다.

다음에 오라고 결론을 내려주지 않아도 다시 온다. 구박해도 된다.

공동책임 (가게를 혼자 운영해도 구박을 당한다)

직장성향. 놀아줄 사람이 필요(과부가 커피숍을 운영해도 옆에 기둥서방이 있다)

 

 

관성용신의 직업

1. 관인상생 (인성이 약해 관인상생은 억부용신, 인성격에 관인상생은 격용신),

공직, 부인 일 시킨다. 부인은 사회 활동가

 

장점 ( 절차에 의한 것, 꿈을 향한 변신, 가업에 의한 것, 원칙, 이성적, 권위적

단점 ( 자기 주장보다는 부모의 영향이 큰 것, 주위의 여건에 의해 직업이 결정됨.

개혁, 모험, 변화를 싫어함. 편안함 추구, 답답함이 있다.

인성이 약할 때 관성이 너무 많이 생을 하면 신경쇠약, 우울증, 극우적인 것, 우울증.

관인상생에 관성이 합까지 되면 공무원이 처를 시켜서 돈 벌게 하던가?

교수가 알바이트 하던가, 산학협동 한다. 요즘 관살 혼잡은 부업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난다. 관인상생 된 사람이 운 나쁘면 소외감, 죄절을 겪는다.

인성이 많던, 관성이 많던, 관인 상생이던, 인성이 약해 관성을 생하던 밖에서는

품위와 존경을 바라고 집에서는 처를 종처럼 여기는 권위적인 태도 보인다.

관인상생은 꾸준한 꿈을 실현 하는 것.

관인상생 됐는데 운이 식상운이면 꿈이 이뤄지지 않음.

2. 재성을 설하기 위함 , 부인일 시킨다.

재성이 다자할 때 관성용신자는 인성이 꼭 있어야 한다.

무인성에 관성 용신자는 어쩔수 없이 택하는 경우가 있는데

남편에게 잘해주고 대우 못받는 것,

 

주먹질로 싸우던가, 처가 집나가서 딴 살림 차린다.

신약할 때 인성이 없어 어쩔수 없이 관을 쓴다. 가종운처럼 되어

사회적으로 괜찮아도 가정은 꼭 깨진다. 처가 죽는다.

庚 乙 丁 甲 乾

辰 酉 丑 午 처가 죽음.

재극인이나 재성이 다자할 때 관성용신을 쓰는 것은 급수가 낮다.

3. 비겁이 다자할 때, 양인, 건록일 때.(비겁이 다자할 때 관용신자는

처가 나와서 일한다. 재생관을 받아야하니까, 재성을 살펴야 한다.

재성이 다칠 때 무너진다.

인성이 없으면 허관, 명예적인 것. 관성이 조후용신이면 허관, 명예직이다.

비다 양인 건록에 관성이 약하면 재성이 있어야 하고

관성이 왕하면 인성이 있어야 한다.

4. 비겁이 다자할 때 재생관 의미 (희신이 완벽한 사람들)의사, 살생직업,

한번의 당선에 의해 인생이 편안해지는 것 (미스코리아 당선등),

 

희신이 합되거나 극당하거나 생이 원활하지 않으면 무너진다.

희신에 의해 무너짐(트사,체면손상, 쓸데없는일 발생, 보증선 것 탈나는)

다른 사람에 의해 신세가 나빠짐. 부인이 사회활동가.

비겁이 다자할때 관살이 없으면 귀신병, 신병에 시달린다.

살이 천간에 있어야 사회적으로 이름난다.

지지에 있으면 뱀대가리 된다.

만약 토일주는 재자약살을 잘못하면 안된다.(수생목을 잘못 하면 안된다)

토일주가 비겁이 다자할때 을목은 용신이 안되고 갑목이 용신인데

濕할때는 火, 燥할때는 水를 써라.

@ 戊 己 甲 수생목이 안되는 사주인데 재자 약살을 하면 안된다.

(수생목을 하면 辰 丑 辰 木, 土가 죽는다)

내탓이 아니고 남의 탓으로 죽는다. 동업투자 하면 안된다.

관이란, 공직, 대기업, 일반 공무원, 일반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들,

자격화시켜서 하는 직업

명예직 (실업자가 가장 높다.), 일반 직장인들, 자영업사장들.

관에는 약간의 무노동성이 있다.

관용신은 재생관 받아야 하므로 부인이 나서야 된다.

관용신자가 희신이 없으면 마누라 도움 포기해야 한다.

 

관용신자 특징, 책임, 명분, 인간적인 대우, 명예, 제도

(식상용신자 특징, 무책임, 규칙없는 것, 관용신자의 반대)

관성하고 비겁이 없으면 관재구설을 혼자 다 겪는다.

(관성, 인성왕에는 비겁이 꼭 있어야 내 대신 남이 죽는다.

관왕하고 비겁이 하나라도 있으면 관재구설을 겪을 때

변호사라도 사서 빠져 나올수 있다. 돈으로 라도 때운다.

식상용신의 직업

식상이란, 준비중, 불리는중, 먹는중, 계획중, 식신에 배도 살찌고 불린다.

식신은 남자에게 커다란 직업 제공을 못한다. 가업을 잇는 것,

자기 개성이 아닌 것

상관, 가업을 잇지 않는다. 객지화. 새로운 직업에 도전.

식신 다음에 재성운, 준비한 걸로 돈 번다. 인성운, 준비해 놓고 부도난다.

식상이 용신인 자는 재성과 관성이 식상의 용신의 용도이다.

식상이 약하면 겁재의 도움을 받아야하고 겁재가 용신인자는 식상을

아무리 생해도 돈이 일정부분 나간다. 식신(천성대로 사는 것, 우유부단.)

 

상관 (변화, 개혁적요소, 발전, 경쟁심리)- 경쟁에서 이겨야 된다는 체면이 있다.

水木傷官은 상관보다는 관을 바란다(개혁, 변화보다는 관을 바란다)

상관은 직업적으로 전 종목을 망라한다.

개업(자격증적 요소, 정관+상관, 인성+상관)

정관+식상 = 체면적, 간판, 품위위주, 예술위주, 실속없는 장사꾼.

인성+식상 = 지식적,

식상의 용도

1. 재를 생하느냐 (사업, 개인업. 부자가 될 수있다)

2. 관을 극하느냐 (관, 직장)

3. 비겁을 설하느냐 (자영업, 개인업)

비겁이 인성에 통근 했을때는 식상으로 설해도 된다.

비겁이 인성에 의해 왕해졌냐를 본다.

 

비겁이 뿌리가 튼튼해야지 비겁으로 보고 설을 하고

뿌리가 튼튼하지 않으면 비겁으로 볼수 없다.

식상의 직업

1. 기능을 위주로한 전문직, 의사, 예술가

2. 식상이 다자한 사람은 브로커, 영업직, 프리랜서, 옵션제로 일하는 것.

3. 식상이 극약한 사람은 직업적 기반이 별로 없다. 막노동. 진로변화.

수퍼, 노래방, 기술 없이 자영업 하는 것.

4. 참모, 비서실, 보좌관, 첩, 성질내는 여자

5. 자기 규칙을 정한 사람 (인성과 흡사한 규칙이나 비정상적 규칙.

제도 거역성, 브로커, 경마, 노름

6. 일확천금성 독심술, 상담직, 직관력

7. 식상이 관을 제하던가 치면 정육점, 군인, 경찰

8. 비겁이 다자할 때 식상으로 설하면 정치가가 된다.

장사하는 사람들의 직업형태

 

개업 (자격증), 정관+식상, 인성+식상 (인성과다는 자격증으로 가야한다.

재성이 있어도 안된다)

 

인성이 끌고가면 자격증으로 간다. 자격증이란 검증, 지식적요소 가미, 준비철저

오래 걸리고 피곤하다. 언제 자격증 따라고 시켜야 한다. 휴학하고 고민하고

전공도 바뀔수 있다.

장사적요소, 재성+식상( 돈벌기위한 것, 자격증 필요없는 것, 자격화) 경험적인 것,

경험만 갖고 하는 것, 장사는 안시켜도 한다. 재성, 상관이 많으면 3번 직업을 한다.

인성이 많으면 1번 직업으로 간다.

3. 중개, 로비, 도매, 거래 - 겁재 +상관

양인, 건록 +식상 = 단시일내에 성공하는데는 최고. 중개,로비,도매. 거래

운을 가르쳐 줘야한다. 실패냐 성공이냐를 가르친다.

4. 공인될수 있는 식상, 제살 능력이 있는 것, 재성이 왕한 것 (재생관 하는 재성)

공무원, 직장인, 아르바이트 하는 것.

초년운이 식상생재 (식상인데 재성으로 빠지고 원국이 재생관 되있는 사주는

경영학한다. 평생 공인한다.)

제살하는 사주에 장사하는 사람이 있는 것은 편관이 많을 때 제살하면 장사한다.

편관이 장사를 많이 한다. 편관이 다자하면 곤란.

편관이 다자하면 사업을 하고 편관이 왕하면 사업 하지 않는다.

예) 癸 辛 丁 丁 乾 계묘대운 패션계통 사장.

巳 亥 未 酉 인성 + 식상이 연좌하는 사주. = 지식적, 자격증적, 개발적.

자격화된 기술이 있던가 튼튼한 회사를 다니다가 개업하던가 한다.

5. 직장 다니는 상관

식상이 있는데 극약한 사람

식상이 태왕한데 식신생재가 잘 안되는 사람 (재가 없거나 생이 불능할 때)

영업, 보험 아줌마, 프리랜서, 연예인, 아는 사람 소개로 가는 것,

사람보고 가서 일하는 것, 누구 밑에 가서 있는 것

이런 사람들은 실패를 전전하다가 간다.

직업 안정이 안된다.

무식상 (식상이 끼어야 참모적, 기능적) 무식상은 혼자 클수는 없다.

옆에 사람에게 도움을 받아라.

비겁+관성 = 세트로 움직이는 것. 여럿이 움직이는 형태, 친한 사람 따라가는 형태.

재성용신의 직업, 비슷한 것 (재격, 재성 편중)

재성용신자들은 사는 것이 편안하다. 못살아도 폼은 난다. 인성용신자들은 사는 것이

배부른자와 배고픈자가 구별된다. 잘 살아도 이상한 옷차림. 과대포장적인 것.

인성이 왕하다는 것은 식신, 재성이 왕하다는 의미로

인성을 나타내기 위해 폼 잡는 것을 말함.

프랑스제, 현대적인것.

 

재격, 사업가, 높낮이가 있다.

재 편중 장사꾼, 행동

재성용신, 돈에 대한 마음이 어느 정도가 있나 보라.

재성 용신의 용도

 

재자약살, 신왕하고 관이 용신일 때 관약할 때 재성으로 자비를 베푸는 것.

자비롭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합리적인 사람.

직업, 자영업, 국가 기업체, 공무원, 자격증 가지고 중개업하는 것

중개, 로비, 여행사, 안내, 수송, 항공분야 근무자. 메이커 장사.

자영업을 해도 관성이 있어 간판 확실하고 대리점, 메이커 가게,

원단, 기초적인 것을 해 낼수 있는 사람.

식상은 중개업 이어도 자격증보다 돈벌기 위한 것. 충성맨, 야근하는 사람.

재생살, 재자약살과 반대의미로 살왕한데 다시 재가 또 생하는 것.

마누라 땜에 구설 생긴다. 재자약살을 잘못하면 망신 당한다.

재생관 -청탁의 의미가 많다. 재생관된 사람은 성격도 좋다. 책임완수,

소신있는 행동, 빈틈없는 행동, 비위 맞출줄 아는 것.

현실 적응도 빠르다.

 

재다신약의 문제점

1. 명예위해 세간 살이를 판다.

2. 목표가 있으면 돈을 아끼지 않는 사람

3. 일이 어려우면 돈으로 해결하려는 사람

4. 큰일 못이루고 작은 일에 적극적이다.

(지나친 명분, 극우적)

인성이 왕할 때 재를 쓰는 것.

 

억부용신, 극용신.

(관성이 꼭 있어야 된다. 없으면 재극인되어 학원하다가 망하는 사람.

용신이 되기 어렵다) 돈 되는 것은 다 하는 것. (금전 만능적 생각)

기회포착 하는 것. 무노동적인 기회를 본다, 기회주의적.

인성이 왕한자는 사상적으로 비뚤어진 경향이 있다.

 

어른에 아부하고 애들한테 화내는 사람. 고부갈등이 심한자들.

어른을 필요할 때 쓰고 안되면 버리는 사람.

지식을 이용해서 직업을 갖는것.

직업, 문화, 예술, 종교, 교육을 이용한 사업체 운영.

재성이 왕할 때 인성 용신자, 문화, 에어로빅 센타, 학원사업.

3. 신왕식왕 할때, 연구도 하고 제일좋다. 언젠가 벤처로 간다.

신왕하고 식신이 있으면 재성용신을 쓴다.

식신생재격은 이익과 불이익을 구별한다. 재주꾼, 철저한 조사,

 

관찰력이 뛰어난 사람, 현실적, 적응력이 좋다. 지나치면서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눈을 두리번 거리고 다닌다. 조사적. (인성격은 앞만 보고 다닌다)

돈 잘쓰고 바람 잘피고 말 잘하고 거짓말 잘하고 자상, 후덕, 호골지상, 인기있다

여자는 남편을 무시한다.

 

직업, 전형적 실업가 기질을 타고 났음. 사업가. 신약 식신생재면 유치한 방법을 동원.

비겁용신의 용도

비겁이 과다하면 자영업이 많다.

비겁이 왕하면 공직자가 많다. 출세직, 고정직, 성공직, 임대업등

비겁이 용신이면 재왕사주와 인왕사주가 대표적.

인성이 왕할 때 비겁이 용신이란 법은 없다.

재성이 왕할 때 비겁이 용신, 희신이 될 수 있다. (金, 水일주 재다 신약격은 곤란 )

 

비겁이 용신일 때 나쁜 것.

1.부부궁- 배우자 잔질, 이별이 발생 (가출 별거, 주말 부부 해라.)

2. 돈이 안되는 것 - 금전 이전해라. 타인에게

양도해라. (언제 망할지 모른다) 부동산화 만들어라. 재산도피해라.

3. 직업적 안정이 안되 전전하는 것 - 노래방, 계절 장사하는 것, 변동사업해라.

하다 안되면 때려 치워도 되는 것.

비겁용신자의 좋은 것 - 귀인 이용하는 것. 이것도 좋다고 하기 어려운 것이

능력도 없는데 추켜 세워줘서 망할 때 망하지 못하는 것.

비겁 용신자는 사람이 좋다.

비겁이 길신이라고 하는 것은 비겁은 도움 받는 것이 비겁인데 도움이 장구할 것인가?

안 할 것인가 문제 - 재산도피를 목적으로 두고 처보약 지어 줘야 한다.

인성과다에 비겁 용신이면 비겁 때문에 유희적으로 갈수 있다.

사람들과 어울릴려고 할 것이다. 비겁이 있고 상관이 있어야 방탕을 한다.

재다 신약에 식상이 있으면 많이 벌고 감당을 못하는 것이고

인성이 있으면 처를 시켜서 돈을 잘 벌게 하는 능력있다.

예) 癸 庚 甲 己 乾 갑목 용신에 계수 희신

未 辰 戌 酉 비겁이 길신 역할 한다. 비겁의 특징은 주위나 상사와 타협이

(치과의사) 되지 않으니 자영업 해야 한다,

오행에 따른 직업 분류 木

 

목이 일간일 경우

1. 인성의 직업을 택한다. (무인성이어도 인성의 직업을 택한다) -> 水

2. 개업적 요소를 내포한다. 사업, 자영업, 독립직. -> 火

목일주가 격이나 용신이 부실하면 인성적 직업특성, 개업적 요소만 이야기 해도 된다.

 

용신일 경우

1. 마른일 한다. 흙 안묻히고 뒷짐 지는 것. 여유로운 것 한다. 2차 산업 종사.

2. 목이 인성일 경우 - 허관적인 것을 뜻한다. 만학도, 작가, 집필하는 것, 문방구

3. 목이 식상일 경우 - 서비스업 하고 사기도 친다. 유통업

4. 목이 재성일 경우 - 사업성을 띤다.

5. 목이 관성일 경우 - 관직에 잘 있다.

목이 식상일 경우만 목의 변질이 오고 나머지는 잘 지킨다.

火 화의 특징

1. 허례적, 일을 벌리는 특징 -- 화일간은 한번 망한고 성공하지 처음 성공은 없다.

2. 말로 하는 직업 - 유통, 중개, 비즈니스, 강단업.

가무, 조명적 요소 (노래방, 안경점, 사진)

역마성향 -배달 우체부

 

화가 용신일 경우

1. 인성일 경우 - 인기강사, 광고하는 것, 언론, 매스미디어, 대외관계, 마케팅적.

2. 화가 식상일 경우 - 점잖다. 인성 성격이 많이 나온다. (목일주)

개업이나 독립적 요소가 끼어 있다.

3. 화가 재성이면 - 씀씀이가 크다.

壬午일주 - 남자는 기술직, 서비스센타 근무,

기술이면서 마케팅이 낀다. (디자인, 기술직)

기술적인 면을 내포한 언론, 광고, 여자는 술집여자가 많다.

(재생관을 밖에서 한다)

로비가 가능한 술집. 일반 술집보다는 큰데서 일한다.

4. 화가 관성이면 - 정치가, 관록, 명성가, 깡패, 의사, 정육점주인.

처에게 지시형태를 띠므로 가정생활이 불량하다.

희생정신 보다는 희생을 강요한다.

金 일주 단점

잘 변한다. (잘 변하지 않기 위해 업그레이드 해야 된다. 변화를 자주 줘라.)

업그레이드 하지 않으면 퇴보해서 깐깐한 인간으로 남는다. 화가 있으면 변질안됨.

금이 변질 되면 방어력이 강해져 침투가 안된다. (침묵, 대화를 단절함)

대비하는 직업 - 수비, 방역, 방재, 보디가드

 

금이 용신일 경우

1. 인성이 금일 경우 - 인성은 도와주는 것이고 금은 대비하는 것

은행, 사채, 보조식품, 건강을 지키는 것, 헬쓰크럽, 건강원, 보험

2. 금이 식신인 경우- 금이라는 정밀 기술, 감각능력,

3. 금이 재용신인 경우 - 여러 방면으로 할수 있는 것, 많은 부분한다.

금이 편재면 중개업한다면 여러 물품 취급한다. 경리직, 멀티가 잘되는 사람.

용신이 금인데 약하면 하는짓은 많은데 남는 일이 없다.

4. 금이 관용신인 경우 - 엄하다는 뜻 내포. 성형외과, 쓰레기 청소부, 뒤처리 담당.

사후 세계, 중고 물품 취급, 해결사, 정보원, 조사과, 감사업무.

水, 수가 용신인 사람

1. 침투력 있는 직업, 2. 꾸준한 것

3. 무모한 일 하는 사람 4. 꼬시는 일 모여드는일

수가 용신일 경우

1. 인성이면 - 전문학자, 우표수집, 동물 키우기, 곤충기르기,

2. 식상이면 - 사업성 (목을 향해 가므로 ) 인성이 많으면 지식을 이용한 사업.

3. 수가 재성이면 - 도와 주는일. 전업주부, 보험 설계사. 사채업. 창녀.

수가 용신이고 재성이면 도와주는일 한다. 재생관이 잘되면 사회 복지과 근무.

수가 亥수면 택시기사, 우체부

수가 子水면 의사.

수가 관성이면 - 화일주 양인, 건록을 말함.

식상이 있냐 없냐, 인성이 있냐 없냐에 따라 평탄과 굴곡이 차이남.

식상과 인성이 겸비가 잘 되면 평생 양명할수 있다.

인성이 나쁘면 직업이 나쁘고 (입신은 하고 양명이 안된다)

식상이 나쁘면 입신을 못해 양명을 못한다.

1. 인성격

특성- 비노동적이다/ 지식성이다/ 품위나 시선을 의식한다/

자기본위적이다/ 여가활용이 많아야 한다/ 돈벌려고만 하지 않는다

자격증을 취한다/ 준비나 계획이 많다/

복장을 갖추어야 하고, 자기의 의자가 있어야 하며,

자기의 간판이나 명찰이 있어야 좋아한다.

인성용신자와 직업이 유사한 경우

인성이 왕하거나 많은 자/ 월령이 인성인 자/ 인성이 없는 자

편인과 정인의 구분

편인 - 자기본위적이다/ 독립적이다(프리렌서)/ 자영업(남을 신뢰못함)

결론이 확실한 것을 좋아한다/ 쓸모와 유익성을 중시한다

확인하고 따지는 것을 좋아한다/ 자기 경계선이 분명하다

정인, 단체성/ 의존성(후원자 대화상대)이 강하다/ 하소연 하고자한다

마음을 알아주기를 원한다

대학자 - 만년고시생 - 실업자의 3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학자 교수 교사 강사 작가 예술인 연구원

총무직 인사관리직 기획직 펀드연구원 판사 의대교수

만년고시생 만학도 문화센터 보험원 부동산업 임대업(노년)

식당카운터 극장매표원 전화안내원 봉사원 간호원 집안책임자

구류술업 편업 종교인 정신병자 정복착용직 경비 실업자

인성용식상격

기능을 위주로한 전문직

자격화된 것으로 개업한다

지식, 교육 위주의 사업으로 개업한다.

의사 변호사 예술가 역학인

인기있거나 지도자적 연예인 운동선수

인성용재격

돈되는 짓은 다한다.

금전 만능적이다. 기회를 틈타 무노동적인 투기를 한다.

(재성운에는 금전투기를 한다)

기회주의적이다. 윗사람에게는 아부하고 아래사람에게 큰소리 친다.

관성이 없어 재극인이 되면 위험하다.

재성용신자는 잘살아도 실용적인 옷을 입고 다니며

인성용신자는 못살아도 품위있고 유행하는 옷을 입고 다닌다.

(인성과다하면 고전적이고 특이한 옷을 입는다)

직업- 문화, 예술, 종교, 교육을 이용한 사업, 무노동적 지식적 투자

인성용관격

공직자 대기업 자격직

순리적인 절차를 밟아가는 성질, 꿈을 향한 전진성, 가업에 의한 선택.

가업이나 주위환경에 따라 직업이 선택되어지며 자기주장은 무시된다.

(재생관이 되는 경우는 특히 심하다, 가문의 체통상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

원칙적, 이성적, 권위적이다.

개혁과 모험을 싫어한다. 변화를 싫어한다.

보수성이 강하나 근대에는 욕구불만이 많다.(사회적 추세, 불만실행은 어렵다)

인성이 약한데 관성의 생조가 지나치면 보수우익, 좌익등에 빠지기 쉽다.

관인상생격이 운이 나쁘면 소외감과 좌절감이 생긴다.

명분과 체면을 앞세우니 혼자 있으면 답답하고 우울증 신경쇠약에 걸린다.

밖에서는 품위를 지키나 안에서는 마누라를 종부리듯 한다.

(인성과다, 관성과다, 관인상생격에 모두 해당되는 공통점이다)

官多하거나 官合되면 탐합망관이 되므로 官의 본래 자세를 잊는다.

(스토커, 의처증, 의부증등이 생긴다)

관성격의 특성

무노동성이다, 인성의 무노동성이 자격증에 의한것이며

자유시간이 많은 것에 비해

관성의 무노동성은 정규적이며 자격화된 무노동성이다.

대의명분을 내세운다

봉사희생적이거나 권위적이다

소속성과 계급성이 강하다

자신이 출세하기 위해서 타인을 밟아야한다

관성용신자와 유사한 직업

월령 관성인 자, 관살이 세력을 이룬자

인성용신자는 관청의 행정 사무직에 근무하고

식상용신자는 관청의 전산 기술직에 근무하고

관성용신자는 관청의 집행직에 근무하게 된다.

정편관의 구분

관성용식상격

간판이나 외세를 중시하고 예술적으로 흐른다.

관성용인격

가업이 교육이며 교육자 집안인 것을 말하며 직업을 가통으로 잇게된다.

칠살용식상격(식상제살격)

정육점, 군인, 경찰, 깡패, 공직, 일반 직장인

편관이 많으면 사업으로 나간다.

왕한 재성이 식상관을 설해서 관성을 생조하는 경우

관성용재격(재자약살격)

관살을 생하는 것이니 종국에는 내가 당할 위험이 있으나 대의를 위해

충성을 다하니 자비로운 구조가 된다.

관성(상사, 책임자)에게 충성하며 성장하는 직업이다. - 인사가 만사라 생각

어려운 일이 벌어지면 돈으로 해결하려 한다.

합리적이고 남피해를 주지 않으며 책임감과 소신이 있다.

 

오행으로 재생살이 잘 안되면 청탁, 아부성이 강하고 빈틈이 없다. (寅午,寅巳의 비교)

신약하면 재생살을 쓸수 없다 - 처로인해 패망, 타인에 의해 구설이 많다.

신왕하고 관용신일 때만 가능하다.

현실적응이 빠르고 대의명분을 지나치게 소중히 한다.

명분을 위해서는 재물을 아끼지 않는 무모함이 있다.(金일주 木生火)

부부싸움도 잘하나 부부를 위해준다.

 

극우적, 극좌적 성향이 강하다. (편관성향과 비슷)

사회적으로는 명분을 중시하고, 개인적으로는 스토커 기질이 있다.

재생살은 명분을 이용해서 돈을 벌고, 식상생재는 돈을 목적으로 한다.

직업, 자영업, 기업인, 공무원, 중개업(자격증), 로비스트, 여행사

조후적 관용신

관성이 조후용신이 되면 100% 명예직이 된다.(火金水 일주)

비겁건록자가 관용신 일 때 인성이 없으면 허관이 되니 명예직이지만

관성이 조후용신으로 쓰이면 실관으로 변한다.

단 인성이 중왕한데 건록양인격이면 인성운에 관이 극설되니 퇴직 파직한다.

관성이 조후용신인데 초년운에 들어오면 꿈이 대통령이나 이루어지지 않는것과 같다.

관인 상생격이 식상운으로 흐르면 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3. 식상격

특성

직업적 선택폭이 넓다

소속성보다는 전공을 살린다

속아지가 고약하다. 자기규칙이 있다. 제도거역성. 직장을 못다닌다.

직관성이 있다. 끈질기게 배우지 못한다.

식상은 준비중 추진중 키우는중 진행하는 중이다.

인성이 들어오면 진행중인 것이 터진다

재성이 들어오면 결과를 얻는다

식상용인격

식상용재격

어려운 조건을 노력하며 헤쳐나가며 힘겹게 성취하는 것을 말한다.

식상용식상격

브로커 영업직 프리렌서

자영업 식당 수퍼 노래방 막노동등

직업적 기반이 약하니 무작위로 한다.

참모 보좌관 첩(인성이 있어야 가능하다)

식상용인성격

사업가가 선생님하는 것

종합학원 여행사

인성용신이 약하면 사업성이 떨어지는 사업이다 - 학습지 보험 과외

인성용신이 태과하면 남이 알아주는 사업을 한다 - 불우이웃돕기

식상용재격

처세나 가정에 가장 좋은 표본의 사주가 된다.

이익과 불이익을 구분하여 꾸준히 한다. - 자상, 후덕, 인기가 좋다.

돈잘쓰고 잘번다. 바람 잘핀다. 거짓말 잘한다.

현실적이고 사람구별 안한다. 이익이 우선이다. 적응력이 좋다.

여자는 남자를 무시한다. (신왕하고 관약한 경우)

한번 얻어먹으면 한번은 산다.

신약하여 왕한 식상생재의 구조를 가지면 유치한 방법을 쓴다.

사업가, 실업가, 연구직이면 후에 벤쳐직으로 간다.

4. 재성격

재성용인격

골동품 서점 문구 화랑 토속품 메이커제품

학원사업 여행사(편재유기) 언론 출판 문화사업

재성용식상격

개인사업자

재성이 약하면 관성을 극하니 직업이 자주 바뀐다

돈과 경험에 의한 장사

인성이 과다하면 사업이 불가능하다.

재성이 연좌하면 도매업도 가능하다.

본인들이 알아서 직업을 택한다.

재성용관격

자영업자, 일반직장인

인성이 없으면 실업자, 막노동자

직업적인 급수가 낮다.

재극인이 두려우니 신속하게 낮은 직업이라도 취하게 된다.

(빨리 생활안정을 해야하는 경우, 재다신약하여 미래가 불안한 경우)

말단직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진급하는데 인성이 있어야 한다.

(운이 나쁘면 포기한다) 공무원, 교사직, 사무관리직

5. 비겁용신

비겁을 용신으로 쓰는 자는 남들이 도와주고 싶어한다.

비겁용신이라도 비겁운에는 돈문제가 좋은 것은 아니다.

비겁용신자의 재산처리 - 언제 망할지 모른다, 유산을 받으나 탕진하기 쉽다

금전 이전해라, 타인 명의로 양도하라, 부동산화 해라

투자를 할 때는 실제 오행의 생생이 잘되는 가를 보아야 한다.

직업을 안정하려면 - 노래방, 피시방, 계절장사, 유행에 민감한 사업

비겁용신자의 부부궁, 잔질, 이별수, 마누라 보약해줘야 한다, 잠자리 약하게.

비겁이 용신인 경우(가려내기가 어렵다)

1)재성이 왕한자

2)인성이 왕한자 (癸卯 庚申 癸丑 庚申)

3)신약한 살인상생자 (癸卯 癸亥 丙子 壬辰)

비겁이 과다한 경우, 자영업

비겁이 왕한 경우 - 공직, 출세직, 임대업, 알부자

비겁용식상격

중개인, 로비스트, 브로커, 도매상

성패의 운을 상담자가 알려주어야 한다.

건록용관격

일반직장인 자영업 정치인 실업자

대기업 공무원 국가자격직(법관,군인,경찰)

희신이 완벽하면 단독직, 사장, 살생직권직

한번의 기회로 탄탄대로를 걷는다

희신이 무너지면 단 한번에 무너진다

선거에 강하다

자영업 사장들이 많다 (비겁을 극하는 용도- 식재격보다 못하다)

비겁이 하나만 있어도 관살이 없으면 곤궁하게 된다.

(비겁은 방해나 해꼬지가 많다)

 

인성이 왕하면 비겁이 하나라도 있어야 대항력이 있다.

재성이 왕할 때는 인성이 필요하고, 관성 인성이 왕할 때는 비겁이 필요하다.

관살이 왕한데 비겁이 없으면 관재구설을 무방비로 겪어야 한다.

(비겁이 있으면 변호사를 사서라도 관재를 무마시킬수 있다.)

양인 건록에 官이 용신이면 재생관이 잘되는 가를 살펴야 한다.

(관이 약하면 재성이 용신역할을 하게 된다)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론] 식상격의 진로  (0) 2021.09.26
인성격 진로  (0) 2021.09.26
격국별 직업  (0) 2021.09.26
십성별 직업의 특성  (0) 2021.09.26
천간별 직업론  (0) 2021.09.26
728x90
반응형

상관격 직업



영리함 또는 유창한 화술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는 모두 소질이 있고 양호하다.



격(格)이 높고 청하면 변호사나 판검사로 법조계에 유망하며,

교수직이나 언론직 출판 작가 등에 몸담을 수 도 있다.



상관생재격(傷官生財格)이 되면서 官星이 잘 조화를 이루면 경제부처 관리로서도

명성을 얻을 수 있다.



특수한 기술을 지녔거나 특수한 사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격(格)이 낮고 탁하면 서비스업이나 유흥업으로 의 식 주 관련 업무에 소질이 있으며,

대체로 연예계, 예술, 기예, 교육, 구류술업 등 다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소질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치밀함이 요구되는 설계사, 회계사, 세무사, 참모, 기획실등의 업무에도 잘 맞다.



남들보다 튀는 성격이어서 특이한 취미도 있으며, 골동품을 애장하거나 직업으로

갖는 경우도 있으며, 고물상 계통의 직업을 갖는 사람도 있다.



상관격(傷官格)의 사람은 자신이 새집을 짓거나 새집을 사서 들어가면 잘 안되지만

재개발이나 망한 가게, 헌 집, 경매 매물 등을 구입하면 흥하고 잘되는 경우가 많다.



상관(傷官)이 생재(生財)하면 사업가 쪽에 소질이 있고. 인성(印星)을 쓰면 교육학자

쪽으로 발전하며, 둘 다 없는 사람은 예술, 예능쪽에 소질이 있다.



상관격(傷官格)인 남성이 편관(偏官)을 극(剋)하면 경찰이나 무관이 될수 있다.



상관격(傷官格)에 재성(財星)과 인성(印星)이 조화를 이루면 고관(高官)이 될 수 있다.



신왕(身旺)하고 상관이 강한데 충분한 제화(制化)가 없으면, 종교인이나

예술인, 독신생활이 좋다.



상관격(傷官格)에 양인(羊刃)과 상관이 있어 조화를 이루면 군인으로서도

크게 출세할 수 있다.



상관격(傷官格)에 관성(官星)이 미약하거나 공망(空亡)과 동주(同柱)한 가운데

일(日)과 시(時)가 상충(相沖)하고 있으면 무자팔자이거나 독수공방 아니면

식모 마담 기생이 될 팔자다.



상관격(傷官格)은 직업 변화가 많으며, 남의 지배를 싫어하는 까닭에 자영업이나

자유직업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차라리 그 것이 낫다.



식신격 직업



식신격(食神格)은 예술 및 의식주에 관련되는 업무나 사업이면 모두 소질이 있고 양호하다.



食神格은 사람을 끄는 매력도 있고 인간관계도 좋으니, 이는 재(財)의 원신(源神)이고

財를 만드는 재주도 있다고 보기에 사업가나 경영직에 소질이 있겠다.



食神格은 뛰어난 머리와 총명함으로 교육, 경제, 식품영양, 농림, 어업 등에 관한

학문 분야에서 종사함도 가능하다.



제조업이나 판매업에도 남다른 소질을 가지고 있다.



食神이 正財를 보면 금융관계 기관이나 기업체의 경리부서에서 근무함이 좋고, 기술과

관계되는 자영사업이나 봉급생활을 하면 좋다.



食神이 편재(偏財)를 보면 대체로 위와 비슷한 면을 보이나, 좀 더 크고 활동적인 분야인

무역이나 항공회사의 경리 등 스케일이 큰 직업을 가지게 된다.



食神이 財星과 함께 있으면서 신왕(身旺)한 명조는, 여러 사람의 신망(信望)과 사랑으로

성공하게 되고, 특히 음식장사나 식품사업이 좋고, 음식솜씨가 아주 뛰어난 사람이다.



食神格에 관살(官殺)이 있으면 구류술업이나 비생산적인 업무에 자질이 있다.



여명(女命)에 食神이 태과하거나 왕(旺)하면 색정(色情)이 깊어 자칫 화류계로

나갈 가능성이 높다.



정재격 직업



정재격(正財格)의 사람은 편재(偏財)와 다르게 임기응변을 잘못하며 융통성 또한 적다.

총명하고 신의(信義)도 있으며 성실하지만, 요령과 수단이 좋지 않아 이점만 잘

상기해서 직업을 추리하면 무리가 없겠다.



정재(正財)는 정당한 대가 이윤을 받는 업이나 직업이 좋다.



투기성이 있는 직업이나 사업에는 소질이 없으며, 특히 명식에 비겁(比劫)이

많을 경우에는 대단히 위험하다.



나름대로 격(格)의 상태를 보아 안전한 자유업은 할 수 있으니, 약사, 의사, 이발사와

같은 직업에 몸담을 수 있다.



꼼꼼하고 빈틈없는 일 처리와 정직한 性格으로서 직접 돈과 직결되는 업무에도

용이하니 금융업에 종사하는 것은 좋다.



사채놀이나 증권투자와 같이 투기성이 짙은 관련업은 좋지 않으며, 정재(正財)의 특성으로

봐도 투기 보다는 안전한 투자 쪽이 유리하다.



식상생재격(食傷生財格)이 구성된 명(命)은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업무에도 소질이 있다.



정재격(正財格)이 잘 구성된 사람은 기업의 경영자와 같은 실업가로서도 성공할 수 있다.



평범한 직장 샐러리맨으로 적합한 타입이다.



편재격 직업



자신의 돈보다는 남의 돈을 더 많이 활용할 줄 알고, 재(財)를 운용하며 이득도 챙기는

전형 적인 사업가 체질이라 하겠다.



사업가 자질이 충분하기에 무역업으로 크게 성공할 수 있으며, 적게는 외판원으로도

소질이 많아 대성할 수 있다.



통신관계, 교통관계의 생산 및 판매업도 좋다.



활동적이고 많이 돌아다니면서 하는 판매업 내지는 영업직이 좋다.



편재(偏財)와 관성(官星)이 적당하면 금융계통의 관리직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부동산 사채놀이 증권투자 밀수등과 같은 투기성이 매우 강한 업무에 종사할 가능성도 높다.



명(命)과 운(運)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 신흥재벌로서 일약 명성을 얻게 된다.



命과 運이 좋지 못한 사람은 사회악(社會惡)을 조장하는 마약 절도 사기 매춘 도박 등으로

떼돈 을 벌려고 하는 경향이 많다.



명조(命造)에 비겁(比劫)이 많으면, 比劫을 다스려주는 五行에 해당하는 사업이

아니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는 봉급생활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신약(身弱)하고 편재(偏財)가 왕(旺)하면 신강(身强)해지는 조건의 사업이

아니면 실패하게 된다.



그밖에 의약업, 정치, 세무관리, 역술인 등 편재격(偏財格)의 사람은

여러 방면에서 소질을 발휘한다.



편관격 직업



편관격(偏官格)에 제화(制化)가 부족하면 직위가 낮은 경찰, 검찰계통, 군인 등의

무관계통이 알맞다.



偏官格이 制化가 적의하고 인수(印綬)를 보면 법관, 국회의원 등의 고위직도 가능하다.



偏官格이 羊刃(지지)을 보고 양호하면 검사는 부장검사로 군인은 장성급까지는 문제없다.



偏官格이 강하고 制化가 안되어 있으며 신약(身弱)한 사람은 강도, 깡패, 사기꾼,

소매치기 정도의 업을 갖는다.



偏官格이 다소 약한 듯하면서 인성(印星)이 두어 개 있으면 문인(文人)으로 출세하는

경우도 있으며, 식상(食傷)도 같이 있게 되면 연예인으로 빛을 볼 수 있다.



살(殺)이 너무 약하고 인성(印星)이 있으면 춥고 배고픈 학자 일 수 있다.



偏官格이 양호하게 구성되면 기업체의 간부나 기술 분야에서 대성할 수 있다.



偏官格이 편인(偏印)을 보게 되면 비생산적인 업무에 종사하게 된다.



정관격 직업



정관(正官)은 크게 구분하면 文臣에 가깝다.



직위나 직책을 의미하기도 하며 잘잘못을 가리고 지도하는 지도자 위치에

있을 수 있는 타입이다.



정관격(正官格)이 유기(有氣)하지 못하면 말단 공무원이나 직장생활을 하게 된다.



正官格이 양호하게 잘 구성되면 행정계통의 고관이나 정치 실업계통 등 사회전반적인

분야에서 요직을 가질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이다.



재관격(財官格)이 되고 명조가 양호하면 재무계통의 고위직에 이르던가 아니면

기업체의 경영자가 된다.



관인격(官印格)이 되면서 양호한 명조를 이루면 정치가나 대학자로서 명성을 얻는데

이때 官이 더 旺하면 정치가로서, 印이 더 旺하면 대학자로서 명성을 날린다.



正官格이 양인(羊刃)을 보든가 자형(自刑)이 되면서 잘 구성되면 법조인으로써

명성을 얻는다.



식신 정인 정관(食神 正印 正官)등이 서로 상호 길 작용을 하면 학계에서 이름을

떨칠 수 있다.



정관격(正官格)의 사람은 기업체나 군 경찰 등의 분야에서 수뇌부로 올라가기

전 참모, 기획실 등을 거쳐 발돋움하는 것이 좋다.





정인격 직업



正印은 학문과 가장 인연이 깊다. 그러므로 어떤 분야든 학문성을 바탕으로 하는 직업을

갖게 되면 크게 성공할 수 있다.



正印格이 正官이나 偏官의 뿌리가 없으면 순수한 학문, 예술 기술 분야로

진출함이 양호 하다.



正印格이 正官의 뿌리가 있으면 대학자, 문교 계통, 학구적인 정치인, 학원장 등

남을 교육하거나 지배하고 다스리는 수뇌부에 기질을 발휘하게 된다.



正印格이 편관(偏官)의 뿌리가 있으면 군인, 법관, 기술 분야의 고위직

또는 경영자로 용이하다.



정인(正印)의 인자한 성격(性格)은 교육자, 종교인으로서 적합한 체질이다.



正印格이 양호하지 못할 때에는 기술 문화 교육 예술 등의 분야에서

봉급생활이 좋다.



正印格이 다른 곳에 偏印과 겹쳐 있으면 두 가지 업무를 보게 된다.



정인과 양인이 동주해 있고 관성이 명조에 있으면 관계(官界)로 진출하여

고위직에 오를 수 있다.





편인격 직업



편인(偏印)은 正印과 다소 비슷한 점이 많으며 직업을 추명 하는 점에서도 같은 면이

많기에 이 부분은 생략한다.



偏印이라도 制化가 적의하면 오히려 正印보다 나으며 특히, 財를 운용하는 면이

그래도 正印보다는 낫다.



偏印格은 대체로 예술, 스포츠, 전문 기술, 의학 분야에서 취미와 소질을 발휘한다.



종교나 문학, 학문, 역술, 무속인 등, 구류술업이나 비생산적인 업무에 양호하다.



연예인이나 요리업, 여관, 유흥업, 이발 등 다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성격 진로  (0) 2021.09.26
용신별 직업분류  (0) 2021.09.26
십성별 직업의 특성  (0) 2021.09.26
천간별 직업론  (0) 2021.09.26
직업론 (각 직업별 사주 조건)  (0) 2021.09.26
728x90
반응형

2) 十星별 직업특성

■ 정인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은 모두 명예 평판 정신적 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별이다.
인수는 학문 재능 예술적 소질을 타고 났으므로 상업이나 사업 경영에 투신하는 것 보다 공무원 정계 교육계 예술계 등에 자질을 발휘할 수 있고, 또는 학자 연구가 작가 종교가로서 실력을 떨칠 수 있다.

인수는 서비스 관계가 힘이나 육체적인 직업은 맞지 않고 항상 이상적인 것을 추구하므로 이에 맞지 않는 직업은 비록 금전의 수입이 좋더라도 만족하지 않는다.

인수가 있고 식신이 있으면 사회적 신용과 제 3자의 도움으로 상업 사업등에서 성공한다.
인수가 상관을 만나면 제조업 판매업 공업 등에는 불합하고 예술 방면에서 크게 성공한다.

인수는 문서에 해당하므로 부동산과 관계가 있다.
부동산중개 여관 호텔 등과도 인연이 있다.

인수가 편재(偏財)를 만나면
중개업의 부업으로 자산이 늘고 편인(偏印)을 만나면 두 가지 업을 가지다가 명리를 모두 잃을 우려가 있고,

인수가 많으면 자기 과신이 강하여 한 군데에 만족하지 못하며 여러 직업을 전전하거나 적성과 맞지 않은 직업을 얻어 방황하게 된다.

정편인이 혼잡하면 두 가지 직업이다.
정편인이 혼잡하면서 많으면 소심하고, 본업 외에 부업이 있다.
정인은 재능과 학문을 뜻한다.

정인격에 정관이 있어 관인상생격이 되거나 정인에 칠살이 있어 살인상생격이 되면 공직에 복무한다.
정인에 관성이 없으면 학문이나 예술계 문인 등이 좋다.



■ 편인

편인(偏印)은 변화가 많고 다양성이 있는 대중적인 직업이다.
부업이 있거나 직업변동이 잦은 편이다.

편인은 자유업, 즉 편업(偏業)이라야 길하고,
직장 생활에 투신하면 오래 가지 못하고 이곳저곳 계속 옮겨 다니게 된다.
의사 예술가 예능인 작가 평론가 자유업 마담 등 접객업도 무난하다.
단 편인은 고독한 별이므로 편인이 많으면 사교적인 직업은 좋지 않다. ​

편인은 특이하고 전문적인 재능이 필요한 직업, 종교가 학자 의사 기술자 예술가 역술가 등이 적합하다.
작가 역학 종교 투기방면 이상적 사업 물장사 의사 등 편굴한 직업을 가지면 성공한다.

여자는 예술을 가르치거나 미용, 최신 유행과 관계있는 업종으로 크게 발전하고 인기를 얻는다.

편인이 비견(比肩)을 만나면 본업 이외에 손을 대다가 실패한다.
식신(食神)을 만나면 단독 사업은 성공하고 공동 출자는 실패한다.
편재를 만나면 매사 성공한다.
인수를 만나면 모든 일에 불안정하고

실패가 많으며, 정관을 만나면 본업 이외의 일로 능력을 발휘한다.
편인의 학문은 이공계 교육계 예체능계 각종 기능공학 의학 연극 영화 무용 음악이다.


■ 비견

비견(比肩)과 겁재(劫財)는 독립과 자유를 뜻한다.
비견은 사회에서 지도자 위치에 서기를 좋아하며, 양일간은 공익적 자유업 종사에, 음일간은 기술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견겁(肩劫)과 상관(傷官)이 사주에 있으면 타인과의 동업은 절대 불가하다.
이유는 상관은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고, 능력과 부지런함에 해당하는데,
단기간 성과를 내는 일에는 식상(食傷)의 순발력이 능력을 드러내지만,
결국에는 식상이 관성을 상(傷)하고 견겁은 재성을 상하여 사업이 궤도에 오를 무렵이 되면 재관을 가진 다른 사람에게 사업체를 몽땅 넘겨주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견겁과 식상이 있으면 기지와 재치가 필요하나 업종의 수명이 길지 않은 아이디어 사업이나 단시일 내에 성패가 결정되는 직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비견과 정관 인수성이 사주에 있으면 변호사 건축가 세무사 종교 방면이 길하다.
비견에 재성을 만나면 상업으로 대성한다.

비견과 천을 귀인을 만나면 예술 방면이며, 건록‧제왕이면 사업가가 적당하다.

겁재(劫財)는 편관(偏官)이 있어 제복해야 좋다.
식신이 있어 식신으로 흐르면 전문직이나 특수한 재능이 필요한 직업, 전문 기술 등에 종사하는 것이 좋다.
비견의 학문은 인류학 인구학 사회학 정당론 정치학 노동 노사문제 인권문제 인간관계와 관련한 학문 등에 해당한다.



■ 겁재

겁재(劫財)가 많으면 차분하게 하는 일은 성격에 맞지 않으니
활동적인 직업 사회법인 현장 영업인 기술자 등에 적합하며, 보좌역에 철저하면 발전 기회를 잡으며, 부업 또한 성공한다.

고정적인 직업에 일정하게 종사하기는 힘들다.
겁재는 편관이 있어 제복해야 좋다.

편관이 있으면 편관의 직업을 따르는 것이 좋고,
식신이 있어 식신으로 흐르면 전문직이나 특수한 재능이 필요한 직업에 종사하는 것이 좋다.

정관을 만나면 공동 사업에 성공한다.
편재를 만나면 금융업 중개업 등이 적성이 된다.

관성이 있으면 기술직 혹은 군에 투신하면 좋다.
건록을 만나면 독자사업으로 성공하고, 제왕(帝旺)을 만나면 다방면에 능력이 있다.

본래 겁재는 사업으로 발생하는 이득이 되는 재성을 겁탈하는 십성이라, 겁재가 많은 자가 동업을 하게 되면 반드시 경쟁자에게 사업의 이득을 강탈당하게 되어 패가망신을 자초하니 반드시 금물이다.

겁재는 성패가 다단하다.
겁재가 희용이 되면 투기사업도 좋다.
겁재의 학문은 사회복지론 범죄론 청소년문제론 외교 신문방송학 고용 채권문제 등에 해당한다.



■ 식신

식신(食神)은 실무적이고 견실한 직업, 의식주와 연관되는 직업, 생필품과 관계된 직업이 적성이다.

식신이 나타내는 직업은
식품업 서비스업 생산업 직물 유아용품 의약 식품점 판매 다방 음식점 가구점 의류 건축 부동산중개 주택 등 의식주와 직접 관련이 있는 업종이다.

재성이 있으면 생필품을 팔거나 부동산업으로 축재할 수 있다.
일지 식신이나 천간 식신이면 대개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은데, 공무원 재정직 금융관계 등의 일도 무난하다.

식신격은 봉급생활자나 문장‧문화방면이 양호하다.

식신제살(食神制殺)은 무관 군인 경비원 등이 적성이고
식신생재(食神生財)는 외교 영업 약품 음료 식료 부동산 등과 관련된 업종으로 이윤을 얻는다.

식신격에 관살혼잡이면 편업(偏業) 비생산업무 술업(術業) 등에 종사한다.
식상용재(食傷用財)는 학문과 관련된 사업이 적합하다.

식신이 귀인을 만나면 물질적인 혜택을 받아 공동사업으로 성공한다.
만약 편재가 있으면 주위의 도움으로 발전하므로 매사 적극적인 추진이 성공의 열쇠가 된다.
식신이 편관을 만나면 실패가 많고 곤란을 당하므로 독자적인 성공은 쉽지가 않다.

편인을 만나면 남의 일로 손실을 보며, 정관을 만나면 노고가 적고 이익의 혜택이 많다.
식신의 학문은 경영학 경제학 식품학 영양학 의약 농학 임학 사육학 등이다.



■ 상관

상관(傷官)은 미적 감각적 창조적 분석 비평 등의 업무나 전문직이 많으며,
상관에 인성을 대동하면서 격이 좋으면 변호사나 국가 고위직도 가능하다.
주로 단조로운 일에는 적성이 맞지 않다.

예술적인 심미안이 있어서 조각가 건축가 도예가 등에 적합하고,
작가 음악가 서예 미술가 등 감상적이면서 섬세한 직업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관이 인성을 만나면 작가 종교인 철학가 변호사 등으로 이름을 얻는다.
격이 좋으면 고위공무원이다.

상관이 겁재를 만나면 파산 해산의 흉조를 암시하므로 공동 사업에는 적당치 않다.
편인을 만나면 본업 외에 손을 대다가 실패하고 남의 보증으로 인한 손실을 당한다.

상관의 학문은 교육 심리 언어 음악 기상학 철학 언론 관광 웅변 통신 전자공학 등에 해당한다.



■ 정재

정재(正財)는 안정성을 위주로 돈을 버는 별이다.
복잡한 업무, 사교적인 업무는 편재의 역할이다.

문화업 상점 판매 소매 경리 봉급생활자 상업 사업 판매업 제조 및 현금을 취급하는 직업이 적당하다.

고향보다 타향에서 성공한다.
재도 강하고 신왕(身旺)이면 독자적인 경영에도 좋다.

신왕한데 재성이 약하여 재성이 필요한 경우는 공업 기술 등이 적합하다.
정재와 역마가 있으면 활동성이 생기므로 사업으로 이윤을 얻을 수 있고  교통‧운수 등도 좋다.

정재가 사주와 運에서 정관을 만나면 고급기술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사회적으로 지위와 명예를 얻는다.

대기업 공기업 등에서 크게 성공한다.
정재가 겁재를 보면 손실이 크고 항상 대인과 재물로 인한 문제가 많고 식신을 보면 도움이 많아 경제적인 신용을 얻어 크게 성공한다. 정재가 편재를 보면 내‧외의 재물이라 하여 금전 출입이 많고 이익도 많으나 돈벌이의 가짓수가 늘어나는 것이 되어 다른 사업을 벌이는 경우가 많다.

정재의 학문은 경제학 재정 회계 경리 계리 설계 통화 금융 애정론 등에 해당한다.



■ 편재

정재가 노력의 대가로 정당하게 얻는 재물로서 안정적이고 견실하며 단조로운 일, 봉급생활 등으로 얻는 재물이라면 편재는 자극적이고 투기성이 있으며 모험적이고 활동적이고, 도전적인 사업으로 얻는 재물이다.

편재는 활동의 암시가 강하여 역마(驛馬)의 뜻이 있다.
재물을 뜻하므로 재정을 운용하는데 탁월한 소질이 있고, 외교 매매 교통 운수 등 활동적인 일도 적성에 맞다.

재성은 물질적 경제적 상업 이익 등을 뜻하므로 상업 금융 경리 세무 등과 관계가 있다.
또한, 봉사 정신이 있어 보모 간호부 영양사 등의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도 많다.

편재가 있으면 필히 신약신강(身弱身强)을 따져야 하며,
신왕재왕(身旺財旺)이면 사업으로 큰 재물을 얻는 사주이고,
신왕하기만 하고 재가 약하면 공업 기술계통이며,
재가 많고 신약하면 인성에 의지하므로 월급쟁이다.

편재가 천·월덕 귀인 문창귀인 등을 만나면 교육자 변호사 등에 적합하다.
자영인 경우 기술에서 판매 계통을 살리면 대성공하고, 특히 금융 귀금속 무역 계통에서 성공한다.

편재가 있고 사주에 비견이 있으면 본업 이외의 사업에 손을 대다가 손해를 보고, 식신성이 있으면 친근자의 원조를 받아 이익을 보며, 기업에 소속된 경우에도 발전이 있고 자영업에 종사한다면 번영의 기회가 되는 경우가 많다.

상관성이 있으면 아랫사람 혹은 동료들과 돈과 얽힌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고,
정재가 있으면 두 가지 돈벌이를 동시에 가지는 꼴이라 부업(副業)을 하는 경우가 많다.
편재의 학문은 경영 재정 경영 무역 금융 부동산 화폐론 등에 해당한다.



■ 정관

사회적 지위나 권력에 그 뜻이 있으므로 공무원 회사원 정치 법률 행정 실무 등이 좋다. 명예와 신용을

중히 여기며 공무원 학자 금융계의 꼼꼼하고 정직을 요하는 직업에 투신하면 성공한다.

특히 사주에 정관과 正財가 있게 되면 대개 고정된 직업으로 특별한 어려움 없이 조금씩 발전한다.



정관은 공적인 일에 두각을 나타내고 관리와 경영에 관한 능력이 뛰어나 실업가로서도 크게 발전하게 된다.

정관이 비견을 보면 부모의 사업을 계승하고 편재를 보면 신용을 얻어 상, 공업 등에서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정관에 정인이 있으면 문관(文官)이다. 정관이 공망되거나 충형을 만나면 직업을 잃고 방황하는

형상이 되어 쉽게 직업을 바꾸고 오랫동안 한 직장에 머물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정관의 학문은

헌법 행정법 민법 상법 국어 국사 등이다.



■ 편관

편관(偏官)은 경쟁과 파괴의 뜻이 있으므로 경쟁하는 업무나 군인 경찰 등이 좋다. 의리가 있고, 때에

따라 눈물도 보이는 인정이 있으며, 강한 카리스마를 가져 작은 집단의 우두머리가 될 소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편관의 직업을 가장 잘 연상할 수 있는 것으로 토목 건축 분야의 현장 감독이나 사장을 들면

좋을 듯하다. 청부업 건달 날일 잡부 등에 해당할 수 있고, 직감력과 재능을 살려 예술가 작가, 사업

면에는 해외에 관계되는 수출 수입 밀수 부동산 식품업 등에 좋으며, 타인의 업에 근무하게 될 때는

출판사 해외상사 증권회사 보험처리사 등이 적합하다. 스스로가 우두머리가 되고 주어지는 일에

대해서 자신의 책임 하에 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직종이 적합하다.



재자약살은 경찰관 형무관 소방관 형사계 등 무직(武職)이 양호하고 재살태과이면 가난한 선비이며

신왕하면서 양인이 편관을 대동한다면 무관이 좋다. 殺印相生이면 문장 종교 서기 회계 대기업의

고위직 임원이다. 신약에 칠살이 많거나 관살혼잡하면서 인수가 없거나 칠살을 제복시키지 못하면

편파적이고 싸움을 좋아하는 폭력배나 시정잡배이고, 칠살이 많으면서 약한 인성에 의지하면

고생스러운 일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신별 직업분류  (0) 2021.09.26
격국별 직업  (0) 2021.09.26
천간별 직업론  (0) 2021.09.26
직업론 (각 직업별 사주 조건)  (0) 2021.09.26
용신별 직업론 (오행)  (0) 2021.09.26
728x90
반응형

1. 직업론


세상을 살면서 제일 중요한 부분은 인간관계와 그 사람의 활동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직업이 될 것이다.

또한 세상을 사는 그 인간의 고유한 특성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아무리 좋은 직업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직업의 당사자가 원하는 것이 돈이나 명예가 아닐 수도 있지 않겠는가.

직업은 크게 격국(格局)과 용신(用神), 용신의 오행, 격국의 오행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

주로 그 사람의 고유한 특성은 사주 내에 많은 십성(十星)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아무래도 官星이 많은 사람은 官星의 성격을 강하게 띠는 경우가 많고,
印星이 많은 사람은 印星의 성격을 강하게 띠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격국에 따른 성격은 그 사람의 기본적인 틀에 해당될 뿐이며, 그 사람의 활동 방향은 그 성격과는 별개의 것이 된다.

그 사람이 실제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이 되는 것을 용신이라 하는데,
용신의 强弱에 따라 그 적성이 분명히 드러나는 경우도 있고,
그 적성을 따를 재능이 없어서 진정으로 해야 할 것을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 사람이 해당하는 격국의 직업구분은 그 사람이 타고난 특성은 그와 같은 직업구분에 해당할 수 있고,

그 사람의 用이 되는 십성의 직업구분은 그 사람이 그와 같은 직업을 가져야 사회와 원만하게 조화하여

성공할 수 있는 길한 직업이 된다고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용신의 오행은 그 사람의 직업에 대한 질적인 면을 암시해 준다.

용신이 木에 해당하면 木과 관련된 직업이고,
火에 해당하면 火와 관련된 직업이 좋다.

예를 들어, 木 印星이 용신이라면 印星의 지적인 작용과 木과 결합하여 출판계통으로 연상해 볼 수 있고,

火 印星이 용신이라면 印星의 작용과 火의 작용이 결합하여 예능,
그 중에서도 미술 디자인계통의 직업 등으로 연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본 란은 직업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에 충실했으며 직업론 실증사례집은 페이지 양이 많아 사주학 핵심강의 2권에 수록하였다. 그리고 본 책장 7장 실증감정사례집을 보면 간간히 직업에 대한 흐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 오행별 직업 특성

■ 甲木

목재를 다루는 일,
묘목과 작물을 다루는 일,
생명공학
천문 기상 기후와 관련된 일
서적 출판
독서실
교육
신문
방송
土木 건축(건축은 건물을 세우는 것으로 나무가 자라는 성질과 비슷하다.)
피복 의상
도로 교통
자동차 철도와 관계된 일

■ 乙木

화원 식물원 식당 식육점 다방 가구점 목공예 피복 방직 의상실 양복점 제지 종묘 청과물 한약건재상

야채 곡물 목축업. 을목은 생물이므로 생명공학 미생물 제약업 등과도 관계가 있다.

■ 丙火

화학 화공 가스 연탄 고무 타이어 신발 석유 석탄 주유소 화약 필름 사진 디자인 미술 사진관 미용 백화점

양품점 액세서리 온열기구 겨울옷 배관 난방 등. 조류(鳥類)와 관계된 일 양계장 병화는 세상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으로 자선사업 선생 의사 간호원 등과 관계가 있다.

■ 丁火

정화는 작은 불이므로 극장 모니터 예식장 광고 화장품 전자계산기 컴퓨터 조명기구 전기용품 광학기계

디자인 액세서리 학용품 사치품 등과 관계가 있다.

■ 戊土

부동산 전답 사찰 교회 학원 도서관 국회 법원 경찰서 형무소 체육관 운동기구 경찰관 교도관 계리사

변호사 지방유지 전자계산기 컴퓨터 도서관 서적 중고용품 골동품 도자기 도예품 무형문화재 등과

관계가 있다.

■ 己土

전원 전답 밭에서 생산되는 농작물 요리사 식품점 광산 채석 공동묘지 토목건축 사찰 교회 토목기사

■ 庚金

철도 통신수도 전화 여행사 정류장 조선소 제철 중공업 중장비 비행기 전선 무기 기능인. 庚金은 금융과

관계가 있어 조폐공장 은행 동전 등의 암시도 있고, 庚金은 숙살(肅殺)하는 것이니 검사 경찰 의사 간호

침구사 등 과도 인연이 있다.

■ 辛金

은행 보석상 액세서리 세공 군인 총포류 이발기구 양조장 침구사 외과의사 당구장 기원 병원 미생물학

산부인과 접대부 酒類 油類 항공. 辛金은 壬水과 한짝이므로 지혜롭고

깔끔하고 까다로운 일에 적성이 맞다.

■ 壬水

해운 수도사업 목욕탕 해수욕장 수력발전 등대 산부인과 양조장 양어장 소방서 섬유 어부 선장 해초류

포목점 생선 소금 요식업 다방 약초 약방. 水는 지혜를 뜻하므로 검사 판사 의사 선생 지식산업

정보산업 컨텐츠 노하우 등의 뜻이 있다.

■ 癸水

요리사 저수지 염전 어부 소금 소아과병원 이발소 미장원 세탁소 정밀전자제품 주점 밀매음 종묘원

철학자 필방 포목점 염료 다방 등. 계수는 정밀한 것과 관계가 있다. 연구기관 관세청 세무사 등.

계수는 죽음과 관계있는 직업으로 장의사 의사 등의 뜻도 있다.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국별 직업  (0) 2021.09.26
십성별 직업의 특성  (0) 2021.09.26
직업론 (각 직업별 사주 조건)  (0) 2021.09.26
용신별 직업론 (오행)  (0) 2021.09.26
용신별 직업론 (십성)  (0) 2021.09.26
728x90
반응형


3. 실제 직업에 따른 필요 조건


① 의약업으로 성공할 명(命)

- 원명(原命)에 흉신이 있을 때 약신(藥神)이 있는 경우

- 현침(甲, 辛, 卯, 午, 申)을 희용신(喜用神)으로 하는 경우



② 법조인으로 성공할 명(命)

- 원국(原局)에서 흉신을 제(制)한 자(者)

- 丑戌未, 寅巳申 등 3형살을 용신으로 하는 자(者)



③ 예술인으로 성공할 명(命)

- 원국(原局)에 甲, 丙이 많거나 용신인 자(者)

- 식신 상관이 많거나 용신인 자(者)


④ 교육계에서 성공할 명(命)

- 丙 일주(日主)나 丙火를 용신으로 하는 자(者)

- 인성과 식상이 많거나 용신인 자(者)


⑤ 역(易), 무(巫), 종교인으로 나아갈 명(命)

- 丙, 丁 일주(日主) 및 용신인 자(者)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별 직업의 특성  (0) 2021.09.26
천간별 직업론  (0) 2021.09.26
용신별 직업론 (오행)  (0) 2021.09.26
용신별 직업론 (십성)  (0) 2021.09.26
격국과 직업론  (0) 2021.09.26
728x90
반응형


2. 오행에 의한 직업 분류

① 木 用神

의류, 포목, 디자이너, 교육, 침구, 지물포, 지압, 바느질, 조각, 미용, 승려, 화장품, 타자, 음악가, 가구점, 악기점, 서적, 문방구,

신문사, 당구장, 야채․청과물, 한약, 주유소, 곡물상, 화원, 식물원, 다방, 산림업, 의상실, 양복점, 방직, 가수.

△ 甲木 - 문과, 乙木 - 이과


② 火 用神

전자제품, 보일러, 건축업, 외교관, 교사, 아나운서, 연예인, 군인, 의사, 법관, 정치인, 봉사직, 문인, 역술가, 극장업, 통신업,

사진관, 양품점, 화장품, 광고업, 화공약품, 예식장, 학원, 조명기구, 교육, 언론기관 기자, 외국어 학원, 안경점, 전화상, 이·미용.

△ 丙火 - 문과, 丁火 - 이과


③ 土 用神

부동산 중개업, 분식업, 정육점, 토건업, 운동선수, 군인, 지압사, 산림업, 인쇄업, 외교관, 하숙업, 여관업, 도예가, 골동품점,

극장, 묘지, 독서실, 유통업.

△ 戊土․己土 - 문과



④ 金 用神

군인, 무관, 금은시계 세공, 보석상, 치과의사, 색시장사, 기계, 공업, 철도, 조선소, 자동차, 중장비, 보일러, 총포류, 침구업,

기원, 철공업, 금융업.

△ 庚金 - 문과, 丁이 나오면 이과, 辛金 - 이과



⑤ 水 用神

해운업, 선박업, 요식업, 다방, 레스토랑, 카페, 목욕탕, 중개업, 무역업, 의사, 약사, 교사, 여관업, 장의사, 식품업, 수도업,

술장사, 양어장, 유통업, 수산업.

△ 壬水 - 이과, 癸水 - 문과

대략 위와 같은 직업이 적합하나 일주(日主)의 용신(用神)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변한다.

728x90
반응형

'[음양] 팟캐스트 > [고급] 격국용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별 직업론  (0) 2021.09.26
직업론 (각 직업별 사주 조건)  (0) 2021.09.26
용신별 직업론 (십성)  (0) 2021.09.26
격국과 직업론  (0) 2021.09.26
[직업론] 비겁 용신의 직업  (0) 2021.09.26

+ Recent posts